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4일 오전 경기 용인 포은아트홀에서 경기도 정책 공약 발표에 앞서 경기도에 지역구를 둔 민주당 의원들과 함께 앞으로 더 잘하겠다는 뜻으로 큰절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핵심 참모그룹 의원들이 24일 “이재명 정부에서 임명직을 일절 맡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전날 586(50대, 1980년대 학번, 60년대생) 용퇴론이 나온 지 하루 만으로, 인적 쇄신론이 힘을 얻는 모양새다.
정성호·김영진·김병욱·임종성·김남국·문진석 의원 등 이 후보의 측근 그룹인 ‘7인회’ 인사들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번 정부에서도 보은 인사, 회전문 인사, 진영 인사의 고리를 끊어내지 못했다”며 “앞으로 국민이 선택해줄 이재명 정부는 달라야 한다. 오롯이 능력 중심의 인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저희부터 기득권을 내려놓겠다. 국민이 선택해주실 이재명 정부에서 국민의 선택 없는 임명직은 일체 맡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 후보와 대선을 준비하는 모든 분들에게 요구하고 함께해나갈 것을 다짐하겠다”며 “우리 당이 공정의 가치를 되찾고 내로남불이라는 오명을 버릴 수 있도록 의원님들을 포함한 모든 분들이 함께해 나아가야 한다”고 했다. 다른 의원들도 인적 쇄신 흐름에 자발적으로 동참해달라고 주문한 셈이다. 좌장 격인 정성호 의원은 회견 뒤 기자들과 만나 “각자 결단의 문제라 (다른 이들에게) 동참해달라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도 “다만 우리의 충정을 동료 의원들이 알아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7인회’의 백의종군 선언은 전날 친문인 김종민 의원이 “집권하더라도 임명직을 맡지 말자”며 제안한 586 용퇴론과 맥락을 같이한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24일 경기도 이천시 이천중앙로문화의거리에 도착, 즉석연설 도중 손을 들어 시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민주당 안에서는 이런 흐름이 위기감의 발로라고 본다. 당 관계자는 “이 후보가 (지지율 30%) 박스권을 벗어나 40%대로 넘어가려면 기존 전략에서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이 때문에 민주당이 정치개혁 의제를 꺼내 쇄신 의지를 밝혀야 한다는 요구가 곳곳에서 모이고 있었다”고 말했다. 선거대책위원회 관계자도 “김 의원의 요구와 7인회의 선언은 각각 다른 경로에서 준비된 것으로 안다”며 “다만 비슷한 시점에 두 목소리가 맞물리면서 586그룹에 대한 압박이 커지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중도층의 선택을 받으려면 청와대는 물론 기존 민주당과도 차별화해야 한다. 다만 어렵게 만든 원팀 기조가 흔들릴 수 있어 자발적인 흐름이어야 한다는 게 고민”이라며 “그러나 이 산을 넘지 못하면 대선이 결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적 쇄신 흐름을 타율적으로 강요하면 자칫 내부 분란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지만 이 후보가 상대인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에 견줘 열세인 상황을 극복하려면 불가피한 카드라는 얘기다.
당내에서는 586 용퇴론이 공감대가 있다는 말이 나온다. 586세대에 속하는 한 의원은 “김종민 의원의 글은 정치개혁에 방점이 찍혀 있었는데 586 용퇴가 부각됐다”며 “우리 세대가 정치권에서 오래 있었던 건 사실이고 이제 그만할 때가 됐다. 586 용퇴론은 (야권) 저쪽에서 단일화가 논의될 때 나왔어야 할 카드였는데 조금 일찍 공개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586 용퇴론’은 이 후보 지지율 정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또래 의원들이 여러 방안을 논의한 결과라는 것이다.
선대위 전략기획본부장인 강훈식 의원은 <시비에스>(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586 용퇴론이라는 단어들이 우리 당에 나온다는 것은 민주당이 뭔가 혁신하고 새롭게 바뀌려고 하는 몸부림의 과정”이라며 “당내 그런 흐름이 있고, 그런 흐름들을 이야기하는 586 선배들의 목소리들이 꽤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측근과 586 용퇴론이 지지율 반등의 계기가 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586세대인 한 중진 의원은 “당 정당혁신위원회의 3선 이상 의원이 같은 지역구에 출마할 수 없도록 한 제안도 반향이 크지 않았다”며 “이미 586 대표 의원들이 국회에 별로 없고, 있는 의원도 불출마 선언을 한 와중에 용퇴론의 구체적인 내용을 어떻게 채울지도 불분명하다”고 말했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심우삼 기자
wu32@hani.co.kr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