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26일 경기 고양시 일산문화공원에서 열린 고양 집중 유세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대선 티브이(TV) 토론에서 한 ‘초보 정치인인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러시아를 자극해 전쟁이 났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입길에 올랐다. 국민의힘 쪽에서 “러시아의 침략을 정당화하는 것”이라는 비판이 나왔고 이 후보는 “제 표현력이 부족했다”고 사과했다.
이 후보는 지난 25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하는 2차 외교·안보 분야 토론회에서 “우크라이나에서 6개월 된 초보 정치인이 대통령이 돼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을 공언하고 러시아를 자극하는 바람에 결국 충돌했다”며 “물론 러시아가 주권영토 침범하는 거 비난받아 마땅한다. 강력 규탄해야 한다. 그러나 외교 실패가 곧 전쟁 불러온다는 극명한 사례”라고 말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도 ‘정치 초보’라며 ‘선제 타격 발언’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추가 배치’ 구상의 위험성을 강조한 발언이었지만 러시아의 침공 책임을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전가한다는 비판이 나왔다.
윤 후보는 지난 26일 페이스북에 이 후보의 발언을 “국제적 망신”이라며 “자존심에 상처를 받은 우크라이나 국민에게 대한민국 대통령 후보로서 사과를 드린다”고 ‘대리 사과’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도 같은날 페이스북에 “일본침략을 정당화하는 것과 같다”며 “러시아에 줄 서지 않고 나토에 가입하려 했다는 이유로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비난하고 러시아 침략을 정당화하는 생각”이라고 힘을 보탰다.
이에 이 후보는 페이스북에 “제가 해당 발언 직후에 러시아의 침공을 분명하게 비판했고,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폄하한 것이 아니라 윤 후보의 불안한 외교·안보관을 지적한 것임을 누구나 알 수 있다”면서도 “그러나 제 본의와 다르게 일부라도 우크라이나 국민 여러분에게 오해를 드렸다면 제 표현력이 부족했던 것”이라고 사과했다. 고용진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수석대변인도 브리핑을 통해 “이 후보는 어느 대선 후보보다 먼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며 “어제(25일) 토론은 우크라이나에 공감하는 것과 함께 지도자로서 우리가 그런 위기에 처하지 않도록 문제점을 찾고 대책을 토론하는 자리였으며 불안한 강경주의자, 선제타격으로 전쟁 불사론을 외치는 윤 후보의 위험한 안보관과 준비 안 된 외교관을 질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윤영 기자
jy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