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배현진 조수진 최고위원 등 최고위원들의 연속 사퇴로 집권 여당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에 속도가 붙고 있는 가운데 휴일인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국민의힘 원내대표실의 문이 닫혀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 지도체제가 급속하게 비상대책위원회로 기우는 가운데 비대위 전환을 둘러싼 절차적 문제가 제기되고 이준석 대표 쪽도 반발해 당내 혼돈이 이어지고 있다.
국민의힘 내 친윤계쪽은 가급적 신속하게 비대위 체제로 이행하겠다는 생각이다. 권성동 대표는 31일 일부 최고위원들에게 “8월1일 최고위원회에서 비대위 전환 안건을 의결할 것”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당직을 맡은 일부 의원들이 이에 반대하면서 최고위 개최는 확정되지 않았다. 친윤계는 비대위 전환을 통한 당 쇄신으로 20%대로 떨어진 윤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도를 끌어올리는 한편, 6개월 당원권 정지 상태인 이준석 대표의 복귀도 원천 봉쇄하겠다는 계산을 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미 ‘내부 총질이나 하던 당 대표’라며 이 대표에 대한 속내를 나타낸 바 있다.
하지만 비대위 전환 요건을 둘러싼 해석은 엇갈린다. 국민의힘 당헌·당규상 비대위로 전환하려면 최고위원회가 기능을 상실해야 한다. 친윤석열계 의원 쪽은 ‘최고위 재적 인원(9명) 중 과반(5명)이 사퇴하면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반면, 이에 반대하는 이준석 대표 쪽은 ‘최고위원 전원이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준석계인 김용태, 정미경 최고위원이 사퇴를 거부하는 까닭이다. 당 기획조정국 쪽은 최고위 기능 상실에 관한 명확한 해석을 꺼리고 있다. 주류이자 다수인 친윤계가 ‘과반 사퇴면 된다’고 당내 여론을 주도할 가능성이 높지만, 상당한 마찰이 예고되는 대목이다.
비대위원장 임명권 논란도 있다. 당헌·당규상 비대위원장은 당대표나 당대표 권한대행이 임명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은 이준석 대표도 없는 상황이고, 이 대표 징계 뒤 ‘권성동 직무대행’ 체제로 정리되면서 대표 권한대행도 존재하지 않는다. 비대위 체제 전환은 이 대표의 복귀를 가로막는 것이어서 이 대표가 법적 쟁송에 나설 경우 혼란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비대위가 출범해도 성격과 활동 기간을 두고도 논란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친윤계 쪽은 다음 조기 전당대회를 준비하는 관리형 단기 비대위를 염두에 두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조해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관리형 비대위가 아닌, 돌파·혁신형 비대위가 되어야 한다. 임시 전대를 전제로 한 초단기 비대위는 더 나쁜 발상”이라고 밝혔다.
비대위 출범은 국민의힘을 당권 경쟁을 촉발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김기현, 안철수 의원 등은 다음 당 대표 도전 의사를 표시한 상태다. 아울러 권 대행 체제 붕괴 과정에서 분화한 친윤계 역시 각자도생 모드로 당권 도전에 뛰어들 가능성이 있다.
김해정 기자
se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