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7일 대구 달성군에 있는 박근혜 전 대통령 자택에서 박 전 대통령을 만나 대화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국민과의 소통이 꼭 기자와의 소통만은 아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국민이 참여하는 행사도 아주 많이 하셨다는 말씀을 드린다.”
지난 7일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윤 대통령이 언론과 불통’이라는 지적을 받자, 내놓은 답변이다.
윤 대통령의 소통 대상에서 언론이 제외된 지 벌써 1년째다.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패배 뒤 위기를 느꼈다는 윤 대통령은 지난달 국민 소통·현장 소통·당정 소통을 주문하면서도 언론과의 소통은 언급하지 않았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기자회견 가능성을 묻는 기자들의 물음에 “여러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만 했다.
윤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한 것은 지난해 8월 ‘취임 100일 기자회견’이 유일하다.
대통령실 용산 이전의 상징이던 출근길 약식회견(도어스테핑)은 지난해 11월 중단됐다. 기자들은 1년 가까이 윤 대통령에게 직접 질문할 기회를 얻지 못했다. 김 실장은 약식회견 중단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야당 의원에게 “어떻게 기자들이 난동에 가까운 행동을 하느냐”며 반박했다.
대통령실은 패널들이 참여하는 민원 간담회를 소통의 장이라고 여긴다.
이런 간담회에 대통령을 불편하게 하는 질문은 없다. 지난 1일 열린 타운홀 미팅 형식의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는 카카오 모빌리티의 독과점 문제에 관해 질문한 패널이 대선 당시 국민의힘 부산선거대책위원회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았던 핵심 당원이란 사실이 드러나 ‘민생 쇼’ 논란이 일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일정이나 발언 공개, 정책 홍보 등을 대통령의 적극적인 소통이라고 여기는 듯하다. 그러나 대통령은 언론의 불편한 질문을 피하지 않으며 감시와 견제를 받아야 한다.
윤 대통령은 당선자 시절 “언론 가까이에서 제언도 쓴소리도 잘 경청하겠다. 언론과의 소통이 궁극적으로는 국민과의 소통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던 초심을 기억해야 한다.
배지현 기자
bee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