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후보 3차 TV토론
불법선거운동·사회안전 공방
불법선거운동·사회안전 공방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와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는 16일 범죄 예방과 사회안전을 주제로 한 상호토론에서 선거 막판 쟁점으로 떠오른 국정원 여직원의 문 후보 비방 댓글 의혹 사건과 선관위의 새누리당 에스엔에스 불법선거운동 관련자 고발 사건을 두고 한치의 양보 없이 대립했다.
박 후보는 먼저 “문 후보는 스스로 인권변호사라면서 국정원 여직원 사태에서 발생한 여성 인권 침해에 대해 한마디 말씀도 없고 사과도 없다. 2박3일 동안 밥도 물도 못 먹게 감금했다. 인권침해이고 무죄추정 원칙 등 절차적 민주주의가 완전히 실종된 것인데, 아무 문제가 없다고 보느냐”고 공세를 취했다. 이에 문 후보는 “국정원 여직원은 경찰이 문을 열어달라는데도 문을 열지 않았다. 그사이에 (여직원이) 증거를 인멸했다는 의혹이 있다. 수사중인데 감금이다, 증거가 없다고 하면 그것은 수사 개입”이라고 반박했다. 문 후보는 오히려 “여성이든 아니든 선거법을 위반했느냐가 문제다. 새누리당 관계자가 운영한 불법 선거 사무실에서 온라인 여론조작 드러나지 않았냐. 그 사건을 덮기 위해서 (국정원 여직원 인권문제를 거론)하는 것 아닌가”라며 선관위가 고발한 윤정훈 박 후보 선대위 홍보대책위원장 등의 불법 선거운동 사건을 문제 삼았다.
이번에는 박 후보가 “그것은 지금 수사중”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문 후보는 “선관위가 고발한 불법선거 사무실을 인정하느냐”고 거듭 추궁했고, 박 후보는 “당 주변에서 그런 얘기 나왔다는 것을 참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한발 물러섰다.
두 후보는 흉악범죄 증가 원인과 예방대책, 설계수명이 다한 원자력발전소 폐기 문제를 두고도 엇갈린 태도를 보였다. 문 후보는 “새누리당 정부 5년 동안 경찰을 시위진압, 노동탄압, 민간인 사찰 등 정권유지를 위한 도구로 쓰니 민생치안에 구멍 뚫려 부녀자·아동 성범죄 등 강력범죄가 많이 늘었다”고 말했다. 박 후보는 “경찰력 부족, 경찰 사기저하도 폭력(범죄) 난무의 원인이다”라고 진단했다.
설계수명이 끝난 원전 폐기 문제에 대해 문 후보는 “설계수명이 끝난 원전에 대해 박 후보가 스트레스 테스트를 거쳐 폐기 여부를 알아보겠다고 했는데, 위험하지 않으냐. 설계수명이 끝나면 폐기하는 게 옳지 않으냐”고 말했다. 박 후보는 “무조건 중지하는 것보다는 테스트를 투명하게 해 안전에 조금이라도 문제가 있으면 설계를 중지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맞섰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핫이슈] 국정원 대선개입 논란
<한겨레 인기기사>
■ 이동흡 헌재소장 후보자 전격 사퇴
■ 적게 쓰면 돈 더내라? 황당 전기요금 개편안
■ 탐나는도다 쏘맥자격증
■ ‘브라자 공장’에 간 남자 “E, F컵 너무 커서…”
■ 날벼락 맞은 레슬링 “희망은 있다”
■ 이동흡 헌재소장 후보자 전격 사퇴
■ 적게 쓰면 돈 더내라? 황당 전기요금 개편안
■ 탐나는도다 쏘맥자격증
■ ‘브라자 공장’에 간 남자 “E, F컵 너무 커서…”
■ 날벼락 맞은 레슬링 “희망은 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