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수수색 ‘뒷북’ 국군 사이버사령부의 댓글 의혹을 조사중인 국방부가 사령부 본부를 압수수색한 22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내 사령부 현관 앞으로 한 직원이 들어가고 있다.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국정원발 ‘MB 칭송 동영상’도 유포 정황
국방부 “개입요원 4명” 발표국정원 연계 트위트 3종 44건
국방부 “개입요원 4명” 발표국정원 연계 트위트 3종 44건
국군 사이버사령부 요원 13명이 지난해 대선 때 정치 관련 글을 인터넷과 트위터 등에 올리거나 퍼나른 것으로 확인됐다. 트위터 활동을 통해 글을 유포한 이가 5명, 커뮤니티 사이트인 ‘오늘의 유머’ 누리집 게시판에 글을 올린 이가 8명이다. 국방부의 해명과 달리 사이버사령부 요원들이 조직적으로 활동한 정황도 뚜렷해지고 있다.
지난해 대선에 조직적으로 개입한 의혹을 받고 있는 국군 사이버사령부(군 사이버사)의 요원은 국방부 조사본부가 22일 발표한 4명이 아니라 5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이들이 지난해 8월 국가정보원이 조직적으로 유포한 ‘오빤 MB(엠비) 스타일’ 동영상(이하 엠비동영상)을 같은 시기에 확산시킨 정황도 드러났다. 군 사이버사와 국정원이 같은 시기에 생산·유포한 똑같은 트위트도 3종류 44건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겨레>가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실과 함께 군 사이버사 요원들의 인터넷 활동을 분석해 보니, 군인 ㅇ씨가 ‘숟가락’(@spoon1212)이라는 이름으로 다른 요원들과 함께 활동한 사실이 추가로 확인됐다. 이로써 트위터 활동을 통해 지난해 대선에 개입한 의혹을 받고 있는 군 사이버사 요원의 수는 군인 2명, 군무원 3명 등 5명으로 늘었다.
특히 새로 확인된 요원 ‘숟가락’은 지난해 8월30일 이종명 국정원 3차장 산하 심리전단이 상부의 지시에 따라 조직적으로 생산·유포한 ‘오빤 엠비 스타일’이란 동영상을 동료 요원들인 ‘밀리로거’(@zlrun777), ‘광무제’(@coogi1113)와 같은 시기에, 다양한 방식으로 확산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숟가락’은 블로그와 트위터를, ‘밀리로거’는 블로그·트위터·미투데이를, ‘광무제’는 트위터를 각각 이용해 엠비동영상을 퍼날랐다. 이런 방식은 앞서 검찰의 대선 개입 의혹 사건 수사에서 드러난 국정원의 인터넷 글 생산·확산 방식과 동일한 것이다. ‘숟가락’의 블로그와 트위터에 있던 엠비동영상은 현재는 삭제되고 없다.
또 <한겨레>가 확인한 결과, 군 사이버사 요원들과 국정원 요원들이 같은 시기에 완전히 똑같은 내용으로 올린 3종류, 44건의 트위트가 추가로 확인됐다. 앞서 군 사이버사 요원들은 국정원 요원의 트위트 22건을 리트위트한 것으로 드러난 바 있다.(<한겨레> 10월17일치 1·3면) 따라서 군 사이버사와 국정원 요원들이 서로 리트위트한 것으로 의심되는 트위트는 이날까지 모두 66건으로 늘어났다.
한편 국방부는 이날 합동조사 1차 결과를 발표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언론에 보도된 4건의 소셜네트워크(SNS) 계정이 군 사이버사 군무원 3명과 현역 군인 1명의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자들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한 것이고 별도의 지시는 받지 않았다고 진술했다. 그러나 부대 차원의 조직적 개입 여부와 여타 기관과의 연관성 등을 밝히기 위해 수사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국방부 합동조사단은 군 사이버사의 대선 개입 의혹이 제기된 지 일주일이 지난 이날에야 사이버사를 압수수색했다. 그사이 증거로 확보했어야 할 상당수의 인터넷 글들은 이미 삭제된 상태다. 하어영 김남일 기자 haha@hani.co.kr
‘오유’ 정치개입 글 707건 ‘동일 IP’로 올려
인터넷 활동 요원 최소 8명
같은 컴퓨터·공유기 사용 증거
해명과 달리 조직적 정황 뚜렷 최소 8명 이상의 국군 사이버사령부(사이버사) 요원들이 특정 아이피(IP·인터넷 주소)를 이용해 대선 여론조작 및 정치개입 게시물 700여건을 ‘오늘의 유머’(오유) 누리집에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여럿이 한 아이피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군이 조직적으로 활동했다는 점이 한층 분명해졌다. 국가정보원의 댓글 공작이 확인된 ‘오유’에서 사이버사도 같은 활동을 벌인 것은 국정원과의 연계를 보여주는 정황이기도 하다. 22일 <한겨레>가 입수한 이상규 통합진보당 의원의 ‘오유’ 누리집 분석 결과를 보면, 사이버사 소속 군무원으로 확인된 8명을 포함해 34명이 특정 아이피 하나를 함께 쓰며 지난해 야당 대선 후보 비판 등의 글 707건을 올렸다. 사이버사 요원으로 확인된 8명 외에 26명도 같은 아이피를 사용하고 비슷한 게시글을 올린 점에 비춰, 사이버사 요원일 가능성이 높다. 같은 아이피를 썼다는 것은 같은 컴퓨터나 인터넷 공유기를 이용했다는 뜻이다. 군 당국의 주장처럼 사이버사 요원들이 개인적으로 인터넷 활동을 했다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 아이디들은 해당 아이피를 통해 지난해 2월7일부터 대선 직전인 12월8일까지 매일 1~9개의 게시글을 ‘오유’에 올렸다. 글 내용은 문재인 민주당 대선 후보의 서해 남북 등거리 평화수역 설정 정책과 관련해 “이 양반 청와대 비서실장도 했잖아. 임동원이랑 같은 ×소리를 지껄이나 몰라”라고 비난하는 등 야당 정치인 비판과 이명박 대통령 옹호, 제주해군기지 건설 촉구, 종북몰이 등이 주를 이뤘다. 대부분의 게시글은 로그인을 하지 않은 채 익명으로 작성됐고, ‘오유’의 다른 게시판에 올린 글들은 지금도 남아 있는 반면 시사게시판에 올린 글들은 대부분 삭제된 상태다. 하지만 지난 8월 국정원에 대한 국정조사 기간에 국회에 제출된 ‘오유’의 서버에 여러 사이버사 요원이 같은 아이피를 반복적으로 사용한 흔적이 남아 있어 덜미가 잡혔다. 사이버사가 활용한 아이피가 드러남에 따라 수사기관이 사건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는 단서가 확보됐다. 이상규 의원은 “국정원에 이어 군이 대선에 조직적으로 개입한 사실이 드러났다. 커지는 의혹을 명확히 밝히기 위해 사이버사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정환봉 기자 bonge@hani.co.kr [시사게이트 #15] ‘국정원 게이트’ 닮아가는 ‘군인 댓글’ 사건
‘오유’ 정치개입 글 707건 ‘동일 IP’로 올려
인터넷 활동 요원 최소 8명
같은 컴퓨터·공유기 사용 증거
해명과 달리 조직적 정황 뚜렷 최소 8명 이상의 국군 사이버사령부(사이버사) 요원들이 특정 아이피(IP·인터넷 주소)를 이용해 대선 여론조작 및 정치개입 게시물 700여건을 ‘오늘의 유머’(오유) 누리집에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여럿이 한 아이피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군이 조직적으로 활동했다는 점이 한층 분명해졌다. 국가정보원의 댓글 공작이 확인된 ‘오유’에서 사이버사도 같은 활동을 벌인 것은 국정원과의 연계를 보여주는 정황이기도 하다. 22일 <한겨레>가 입수한 이상규 통합진보당 의원의 ‘오유’ 누리집 분석 결과를 보면, 사이버사 소속 군무원으로 확인된 8명을 포함해 34명이 특정 아이피 하나를 함께 쓰며 지난해 야당 대선 후보 비판 등의 글 707건을 올렸다. 사이버사 요원으로 확인된 8명 외에 26명도 같은 아이피를 사용하고 비슷한 게시글을 올린 점에 비춰, 사이버사 요원일 가능성이 높다. 같은 아이피를 썼다는 것은 같은 컴퓨터나 인터넷 공유기를 이용했다는 뜻이다. 군 당국의 주장처럼 사이버사 요원들이 개인적으로 인터넷 활동을 했다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 아이디들은 해당 아이피를 통해 지난해 2월7일부터 대선 직전인 12월8일까지 매일 1~9개의 게시글을 ‘오유’에 올렸다. 글 내용은 문재인 민주당 대선 후보의 서해 남북 등거리 평화수역 설정 정책과 관련해 “이 양반 청와대 비서실장도 했잖아. 임동원이랑 같은 ×소리를 지껄이나 몰라”라고 비난하는 등 야당 정치인 비판과 이명박 대통령 옹호, 제주해군기지 건설 촉구, 종북몰이 등이 주를 이뤘다. 대부분의 게시글은 로그인을 하지 않은 채 익명으로 작성됐고, ‘오유’의 다른 게시판에 올린 글들은 지금도 남아 있는 반면 시사게시판에 올린 글들은 대부분 삭제된 상태다. 하지만 지난 8월 국정원에 대한 국정조사 기간에 국회에 제출된 ‘오유’의 서버에 여러 사이버사 요원이 같은 아이피를 반복적으로 사용한 흔적이 남아 있어 덜미가 잡혔다. 사이버사가 활용한 아이피가 드러남에 따라 수사기관이 사건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는 단서가 확보됐다. 이상규 의원은 “국정원에 이어 군이 대선에 조직적으로 개입한 사실이 드러났다. 커지는 의혹을 명확히 밝히기 위해 사이버사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정환봉 기자 bonge@hani.co.kr [시사게이트 #15] ‘국정원 게이트’ 닮아가는 ‘군인 댓글’ 사건
![](http://img.hani.co.kr/section-image/12/news/hani/images/com/ico/ico_movie.gif)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