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왼쪽)가 29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긴급 의원총회장에 들어서며 ‘공천 살생부’를 발언한 당사자인 정두언 의원과 악수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4·13총선 선거구 획정 이후
선거구 개편, 달라진 후보들 표정
선거구 개편, 달라진 후보들 표정
4·13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처음 생겨나는 수도권 10개 선거구가 총선의 최대 격전지로 떠올랐다.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생활권을 중심으로 선거구를 구획하는 과정에서 여야의 정치적 균형을 주요하게 고려하면서, 초박빙 예상 지역이 속출한 탓이다. 분구 예상지역에서 표밭을 갈아온 예비후보들 사이에선 “지역구 이동을 심각하게 고민중”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여야 강세지역 뒤섞여
누구도 안심 못할 최대 격전지로 용인정 초박빙 여 강세 기흥에 죽전 1·2동 합쳐
여 이상일 난색·야 표창원 고심 수원무 여야 구도 엇비슷 젊은 인구 많은 영통·광교 빠져
정미경-김진표 맞붙을 가능성 화성병 4.5대 5.5 싸움 새누리 김성회 “3파전이면 해볼만”
더민주 오일용·권칠승 도전장 내 남양주병 안갯속 야당에 다소 불리해져
주광덕·김장수 등 셈법 치열 경기 용인의 네번째 선거구가 된 ‘용인정’은 구성동, 마북동, 동백동, 보정동 등 기흥구 지역에 수지구의 죽전1·2동이 합쳐져 탄생했다. 기흥구의 4개 동에선 동백동을 제외한 3개 선거구가 여당 강세, 수지구의 2개 동은 야당 강세 지역으로 분류돼 전체적으로 여야 초접전 지역이 됐다. 용인을과 용인정 출마를 놓고 고민해왔던 이상일 새누리당 의원(비례) 쪽은 기대 밖의 결과에 난감해하고 있다. 이 의원 쪽은 “여당 세가 강한 지역들이 (용인정에) 들어오길 기대했는데, 거꾸로 야당에 유리해졌다”며 “여론조사를 돌려보고 당원들에게도 의견을 물어 출마 지역구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용인정에는 더불어민주당의 ‘인재 영입 1호’인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가 뛰고 있다. ‘수원무’도 여야의 세력 구도가 엇비슷하게 짜였다. 정미경 새누리당 의원 지역(수원을)의 세류1·2·3동, 권선1·2동, 곡선동과 박광온 더민주 의원 지역(수원정)의 영통2동, 태장동이 고루 포함됐기 때문이다. 젊은 인구가 많은 영통과 광교가 수원무에 추가로 포함되길 기대했던 야당 예비후보들에게는 실망스러운 결과다. 한때 이 지역 출마를 검토해온 박원석 정의당 의원은 ‘수원정’ 출마를 굳혔다. 오히려 정미경 의원이 수원무로 옮겨 김진표 더민주 전 의원과 맞붙을 가능성이 커졌다. 정 의원 쪽은 “영통에 아직 김진표 전 의원이 영향력이 많은 걸 알지만, 수원비행장 이전이라는 수원의 역점 사업을 마무리 짓기 위해 비행장이 있는 수원무 출마를 적극 검토중”이라고 했다. ‘화성병’의 획정 결과를 놓고서도 여야의 ‘4.5 대 5.5’의 싸움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기존 화성갑(서청원 새누리당 의원)에서 여당 세가 강한 봉담읍이 화성병에 포함된 반면, 화성을(이원욱 더민주 의원)에서 야당 세가 가장 강한 동탄 지역은 화성병에 들어가지 않으면서 한쪽으로 크게 쏠린 구도는 만들어지지 않았다. 화성병 출마를 선언한 김성회 전 새누리당 의원 쪽은 “획정안을 2012년 총·대선 등 결과에 대입해보니 여당 40.3%, 야당 52%의 결과가 나왔다”며 “국민의당 후보가 나와 3파전이 된다면 새누리당 승리도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해볼 만한 싸움’이라는 평가가 나오면서 새누리당에선 김성회 전 의원 외에도 석호현 당협위원장과 진재광 전 경기도 의원이, 더민주에선 오일용 화성시갑지역위원장과 권칠승 전 참여정부 행정관 등이 화성병에 도전장을 냈다. 반면 ‘남양주병’은 야당에 다소 불리하게 선이 그어졌다. 기존 남양주갑·을 지역에서 여당 세가 강한 지역이 대부분 남양주병으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남양주병은 야당이 지난 대선 때 여당에 1만표, 2014년 지방선거 때는 7000표나 패한 지역이다. 지금은 남양주갑과 남양주을 모두 야당이 차지하고 있는데, 획정위가 남양주에서 여야 ‘1 대 2’의 구도를 맞추려 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주광덕 전 의원과 새누리당에서 공천 경쟁중인 김장수 전 청와대 정무수석실 선임행정관은 “남양주병만 놓고 보면 여당이 다소 유리해진 건 맞지만 그만큼 남양주갑·을은 야당에 유리해졌으니 남양주 전체를 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 획정위원은 “선거구를 획정할 때 ‘동일 생활권’을 가장 먼저 고려했지만, 여당 추천 위원과 야당 추천 위원 간의 치열한 신경전 속에 상당히 여야 경쟁적인 선거구들도 나왔다”고 설명했다. 서보미 기자 spring@hani.co.kr
누구도 안심 못할 최대 격전지로 용인정 초박빙 여 강세 기흥에 죽전 1·2동 합쳐
여 이상일 난색·야 표창원 고심 수원무 여야 구도 엇비슷 젊은 인구 많은 영통·광교 빠져
정미경-김진표 맞붙을 가능성 화성병 4.5대 5.5 싸움 새누리 김성회 “3파전이면 해볼만”
더민주 오일용·권칠승 도전장 내 남양주병 안갯속 야당에 다소 불리해져
주광덕·김장수 등 셈법 치열 경기 용인의 네번째 선거구가 된 ‘용인정’은 구성동, 마북동, 동백동, 보정동 등 기흥구 지역에 수지구의 죽전1·2동이 합쳐져 탄생했다. 기흥구의 4개 동에선 동백동을 제외한 3개 선거구가 여당 강세, 수지구의 2개 동은 야당 강세 지역으로 분류돼 전체적으로 여야 초접전 지역이 됐다. 용인을과 용인정 출마를 놓고 고민해왔던 이상일 새누리당 의원(비례) 쪽은 기대 밖의 결과에 난감해하고 있다. 이 의원 쪽은 “여당 세가 강한 지역들이 (용인정에) 들어오길 기대했는데, 거꾸로 야당에 유리해졌다”며 “여론조사를 돌려보고 당원들에게도 의견을 물어 출마 지역구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용인정에는 더불어민주당의 ‘인재 영입 1호’인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가 뛰고 있다. ‘수원무’도 여야의 세력 구도가 엇비슷하게 짜였다. 정미경 새누리당 의원 지역(수원을)의 세류1·2·3동, 권선1·2동, 곡선동과 박광온 더민주 의원 지역(수원정)의 영통2동, 태장동이 고루 포함됐기 때문이다. 젊은 인구가 많은 영통과 광교가 수원무에 추가로 포함되길 기대했던 야당 예비후보들에게는 실망스러운 결과다. 한때 이 지역 출마를 검토해온 박원석 정의당 의원은 ‘수원정’ 출마를 굳혔다. 오히려 정미경 의원이 수원무로 옮겨 김진표 더민주 전 의원과 맞붙을 가능성이 커졌다. 정 의원 쪽은 “영통에 아직 김진표 전 의원이 영향력이 많은 걸 알지만, 수원비행장 이전이라는 수원의 역점 사업을 마무리 짓기 위해 비행장이 있는 수원무 출마를 적극 검토중”이라고 했다. ‘화성병’의 획정 결과를 놓고서도 여야의 ‘4.5 대 5.5’의 싸움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기존 화성갑(서청원 새누리당 의원)에서 여당 세가 강한 봉담읍이 화성병에 포함된 반면, 화성을(이원욱 더민주 의원)에서 야당 세가 가장 강한 동탄 지역은 화성병에 들어가지 않으면서 한쪽으로 크게 쏠린 구도는 만들어지지 않았다. 화성병 출마를 선언한 김성회 전 새누리당 의원 쪽은 “획정안을 2012년 총·대선 등 결과에 대입해보니 여당 40.3%, 야당 52%의 결과가 나왔다”며 “국민의당 후보가 나와 3파전이 된다면 새누리당 승리도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해볼 만한 싸움’이라는 평가가 나오면서 새누리당에선 김성회 전 의원 외에도 석호현 당협위원장과 진재광 전 경기도 의원이, 더민주에선 오일용 화성시갑지역위원장과 권칠승 전 참여정부 행정관 등이 화성병에 도전장을 냈다. 반면 ‘남양주병’은 야당에 다소 불리하게 선이 그어졌다. 기존 남양주갑·을 지역에서 여당 세가 강한 지역이 대부분 남양주병으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남양주병은 야당이 지난 대선 때 여당에 1만표, 2014년 지방선거 때는 7000표나 패한 지역이다. 지금은 남양주갑과 남양주을 모두 야당이 차지하고 있는데, 획정위가 남양주에서 여야 ‘1 대 2’의 구도를 맞추려 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주광덕 전 의원과 새누리당에서 공천 경쟁중인 김장수 전 청와대 정무수석실 선임행정관은 “남양주병만 놓고 보면 여당이 다소 유리해진 건 맞지만 그만큼 남양주갑·을은 야당에 유리해졌으니 남양주 전체를 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 획정위원은 “선거구를 획정할 때 ‘동일 생활권’을 가장 먼저 고려했지만, 여당 추천 위원과 야당 추천 위원 간의 치열한 신경전 속에 상당히 여야 경쟁적인 선거구들도 나왔다”고 설명했다. 서보미 기자 spr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