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투표 전 다수가 예상했던 ‘여당 압승, 야당 참패’라는 전망을 깨는 뜻밖의 선거 결과는 투표율이 지역별로 편차를 나타내는 데서부터 조짐을 보였다. 4·13 총선의 최종 투표율은 58.0%로 잠정 집계됐는데, 영호남의 투표율이 전혀 다른 양상을 보였다. 60%를 넘는 4곳 가운데 세종시(63.5%)를 제외한 3곳이 모두 호남으로 전남(63.7%) 전북(62.9%) 광주(61.6%) 순서였다. 이에 반해 대구(54.8%) 부산(55.4%)은 투표율이 가장 낮은 곳 1, 2위를 차지했다. 경북(56.7%)과 경남(57.0%)도 평균에 미치지 못했다.
이러한 투표율은 우선 각 당이 가져가는 비례대표 의석에 영향을 미쳤다. 새누리당의 비례대표가 줄고 국민의당 비례대표 의석이 약진한 점은 그 결과로 해석된다. 수도권 접전지의 결과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관측된다. 영호남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출향인의 정서가 ‘연동 효과’를 보이는 경향이 있는 만큼 1~2% 차이로 당락이 결정되는 여야 격전지의 경우는 승패를 갈랐을 것이라는 얘기다. 새누리당의 한 관계자는 “공천 과정에서 노출된 계파갈등에 실망한 지지층이 투표장에 나갈 이유를 찾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호남권의 투표율이 높게 나온 것은 일단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호남 제1당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인 결과로 풀이된다. 일단 호남에서는 국민의당이 이득을 봤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고향과 정서적으로 연계된 호남 출향인의 높은 투표율은 사표 방지 심리가 더해지면서 더불어민주당에 유리하게 작용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19대 총선 투표율 54.2%보다 3.8%포인트 높아진 투표율도 야당에는 유리하게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13일 오후 6시 투표 마감 결과 전체 유권자 4210만398명 가운데 2443만1533명이 투표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나 투표율 잠정치가 58.0%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전국 단위 국회의원 선거로는 이번 총선에서 처음 도입돼 지난 8~9일 실시된 사전투표의 투표율 12.2%와 재외·선상·거소투표의 투표율이 반영됐다. 투표 전 중앙선관위 여론조사 결과는 야당 성향이 상대적으로 강한 젊은층을 중심으로 적극적 투표 의사층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총선 투표율은 △15대 63.9% △16대 57.2% △17대 60.6% △18대 46.1% △19대 54.2%였다. 애초 기대를 모았던 투표율 60%대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18·19대 총선에 비하면 투표율이 다시금 상승 곡선을 탄 것이다.
김의겸 선임기자 kyumm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