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도·투표의향·선거정보 습득 등
소유자, 비소유자보다 10~15%p 높아
월소득·자산 많을 수록 경향 심화
“정치정보 얻기 쉬게 해 투표 늘려야”
소유자, 비소유자보다 10~15%p 높아
월소득·자산 많을 수록 경향 심화
“정치정보 얻기 쉬게 해 투표 늘려야”
집을 가진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6·13 지방선거에 관심이 높고, 투표에 참여할 의사가 강하며, 선거 관련 정보에도 밝다는 조사 결과가 7일 나왔다. 소득과 자산이 많을수록, 스스로 상층에 속해있다고 생각할수록 선거 관심도와 투표의향, 정보량이 크다는 점도 확인됐다.
한국정치학회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모바일 설문조사 전문기관인 서베이몹에 맡겨 2~3일 전국 만 19~59살 성인 1101명을 상대로 실시한 ‘지방선거 국민의식조사’ 분석 결과를 보면, 자가거주자(418명)의 76.4%가 ‘광역단체장 선거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했다. 비자가거주자(683명)의 관심도는 61.3%에 그쳤다. 기초단체장 선거 관심도도 자가거주자는 73.9%였으나 비자가거주자는 56.9%로 17%포인트 적었다. 투표의향 역시 자가거주자(88.2%)가 비자가거주자(78.3%)보다 강했는데, 특히 ‘반드시 투표하겠다’고 한 이(62.6%)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자가거주자는 선거 정보도 비자가거주자보다 많이 얻어, ‘출마한 후보를 2명 이상 안다’는 답이 기초단체장의 경우 59.7%, 광역의원 후보의 경우 42.4%로 각각 48.7%, 33.7%인 비자
가거주자보다 11%포인트가량 많았다. 이런 정보 격차 탓에 ‘내일이 투표일이라면 누구에게 투표하겠느냐’는 질문에는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는 사람이 자가거주자(24.7%)보다 비자가거주자(37.8%)가 많았다.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자기 집을 가진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한 지역에서의 거주기간이 길고, 지역의 정보 네트워크에 들어가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에 민감하기 때문”이라는 게 이 조사를 설계한 서복경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 연구원의 분석이다. 자가거주자는 2년마다 집을 옮겨야 하는 사람보다 한 지역에서 사는 기간이 길어 지역에서 맺는 관계나 얻는 정보가 많고, 자신의 이해관계와 직결되는 정책에 관심이 많아 정치 참여의사도 높다는 것이다.
선거 관심도와 정보량 등의 격차는 가구별 월소득에 따라서도 발견됐다. 광역단체장 선거 관심도는 가구별 월소득이 없는 사람(51.9%)이나 월 150만원 미만 소득자(57.5%)보다 월 700만원 이상 소득자(81.8%)가 월등히 높았다. 투표의향은 무소득자가 69%, 월 150만원 미만 소득자가 75.1% 등 소득수준별로 높아져 월 700만원 이상 소득자는 92.8%에 이르렀다. 광역의회 후보를 2명 이상 안다는 응답자도 월 700만원 이상 소득자(45.2%)가 가장 많았다. 이런 경향은 보유자산, 스스로 생각하는 경제적 계층 등에서도 드러나, 보유자산이 많을수록, 스스로 상층에 속한다고 생각할수록 선거 관심도와 투표의향이 높고 정보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정치 정보·참여에서의 이런 격차는, 정책과 지방의회·정부 운영의 편향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서복경 연구원은 “집이 없고 소득이 낮은 계층이 투표에 덜 참여하면 그만큼 정치에서 이들의 의사와 이해관계를 대표해주는 세력이 적어지는 문제, 즉 과소대표의 문제가 생긴다. 구조적으로 이들을 위한 정책이 나올 수가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들이 정치에 참여하게 하려면, 일상적으로 정치·선거 정보를 얻도록 할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잘 모르니까 지지 후보가 없고, 지지 후보가 없어 투표를 안하는 것”이라며 “무조건 ‘정책 보고 투표하세요’ 할 게 아니라 이들이 정치 정보를 안정적으로 제공받고, 적극적으로 향유하는 방향으로 정책선거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실시했으며, 응답률 1.5%,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는 ±2.9%포인트다.
조혜정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 수석연구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