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미래

네덜란드 `일과 삶의 균형’ 세계 최고

등록 2018-03-07 17:41수정 2018-03-07 17:41

OECD `더 나은 삶 지수‘ 분석 결과
장시간 노동자 비율 0.45%-하루 개인 시간 16시간
한국, 35개국 중 터키 멕시코 이스라엘 이어 4번째
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의 도심 운하. 네덜란드는 일과 삶의 균형이 가장 잘 이루어진 나라로 꼽힌다. 픽사베이
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의 도심 운하. 네덜란드는 일과 삶의 균형이 가장 잘 이루어진 나라로 꼽힌다. 픽사베이

주당 최대 68시간인 노동시간을 52시간으로 단축하는 내용의 근로기준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5년만에 통과됐다. 근년 들어 사회적 화두가 된 `저녁 있는 삶’을 향한 중요한 이정표가 세워진 셈이다. 약칭 `워라밸‘(work-life balance)로 통칭되는 `일과 삶의 균형’이 가장 잘 이뤄져 있는 나라는 어디일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해마다 발표하는 `더 나은 삶 지수‘(Better Life Index )에서는 이를 평가하는 항목이 있다. 이에 따르면 일과 삶의 균형을 가장 잘 이루고 있는 나라는 네덜란드다. 이 지수는 각 가정에서 일과 가족 및 개인 생활이 얼마나 잘 조화를 이루고 있는지에 대해 국가별 순위를 매겨놓은 것이다. 이 가운데 일과 삶의 균형 지수는 두 가지 지표를 기준으로 측정한다. 하나는 장시간 근무하는 노동자의 비율이다. 다른 하나는 하루 중 자기 관리와 여가에 활용하는 시간이다. 자기 관리 시간이란 먹고 자고 씻는 등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꼭 필요한 개인 시간을 말한다.

네덜란드에선 장시간 노동자 비율이 0.45에 불과하다. 픽사베이
네덜란드에선 장시간 노동자 비율이 0.45에 불과하다. 픽사베이

 이 부문에서 네덜란드는 10점 만점에 9.3점을 기록했다. 2016년과 2107년 연속 1위를 차지했던 덴마크를 0.3점 차이로 제쳤다. 순위를 매긴 35개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는 터키였다. 터키의 점수는 0점이었다. 장시간 노동자 비율 33.8%, 개인시간 12.6시간이었다. 이어 멕시코가 꼴찌서 두번째를 차지했다. 멕시코 역시 점수라 하기 민망한 0.8점이었다.

 네덜란드에서 정규 노동시간을 넘어 근무하는 노동자의 비율은 0.45%였다. OECD 평균 비율 13%보다 훨씬 낮을 뿐 아니라 회원국 중 압도적으로 가장 낮은 수치다. 2위인 덴마크(1.11%)의 절반도 안된다. 네덜란드 직장인들이 자기 관리와 여가에 활용하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 하루에 약 16시간에 이른다. 하루 근무 시간을 8시간으로 치면 나머지 시간을 고스란히 자기 시간으로 갖는다는 얘기다.

 한국은 어떨까? 한국의 점수는 4.7점이다. 네덜란드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점수다. 35개 회원국 중 꼴찌서 네번째다. 한국보다 못한 나라는 터키 멕시코 이스라엘뿐이다. 세계 최장시간 노동으로 정평이 나 있는 한국의 장시간 근무 노동자 비율은 20.84%에 이른다. 5명 중 1명 꼴이다. 하루 중 자기 시간은 14.7시간으로 네덜란드에 비해 1.3시간이 더 적다. 회원국 순위로 따지면 장시간 노동자 비율은 4위, 자기 시간은 27위다.

 흥미로운 건 프랑스의 지표다. 프랑스는 장시간 노동자 비율(7.76%)은 네덜란드보다 훨씬 높지만, 여가와 자기 관리에 쓰는 시간은 하루 16.36시간으로 회원국 중 압도적으로 가장 많다.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중시하는 프랑스의 생활문화를 느끼게 해주는 지표다.

`일과 삶의 균형‘ 자료 OECD
`일과 삶의 균형‘ 자료 OECD

 `더 나은 삶 지수’를 보면 네덜란드엔 생활의 질과 관련해 자랑할 것이 꽤 많다. 특히 미래세대의 만족도가 높은 것이 눈에 띈다. 11~15세 어린이의 93% 이상이 평균 이상의 생활 만족감을 드러냈다. 직장 생활의 짐도 남녀가 나눠 갖는 편이다. 직장에 다니는 여성의 비율은 1980년대 초반 35%에서 오늘날 69.9%로 두배나 늘어났다. OECD 평균 57.5%를 훨씬 웃도는 비율이다. 사회 구성원간의 공동체의식도 강하다. 90%가 곤경에 빠질 수 있는 친구나 가족 구성원을 알고 있다고 말한다. 정치 과정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최근 치러진 선거의 투표율은 82%였다. OECD 평균 69%를 크게 웃돈다. 삶에 대한 종합 만족도 점수(10점 만점 기준)는 OECD 평균 6.5보다 높은 7.4점이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곽노필의 미래창 바로가기 http://plug.hani.co.kr/futures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고도 100km서 2분간 달 중력 비행 성공 1.

고도 100km서 2분간 달 중력 비행 성공

초속 9km ‘초음속 강풍’ 부는 외계행성 발견 2.

초속 9km ‘초음속 강풍’ 부는 외계행성 발견

한국천문학회, 머스크의 스타링크 겨냥 “하늘은 조용해야” 3.

한국천문학회, 머스크의 스타링크 겨냥 “하늘은 조용해야”

조깅에 스트레칭 더하면 ‘금상첨화’…최적 시간은 ‘4분’ 4.

조깅에 스트레칭 더하면 ‘금상첨화’…최적 시간은 ‘4분’

생명의 원료 가득한 500m 크기 ‘돌무더기’ 소행성 베누 5.

생명의 원료 가득한 500m 크기 ‘돌무더기’ 소행성 베누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