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미래

“에디슨 나와야”…해방공간 과학잡지들의 절박한 꿈

등록 2018-03-12 08:02수정 2018-03-13 08:21

과학시대·현대과학 등
미 군정시절 잇따라 창간
“반드시” 절절한 마음 담아
‘과학시대’와 ‘현대과학’ 표지.
‘과학시대’와 ‘현대과학’ 표지.
“반드시 위대한 과학자가 여러분 중에서 나와야만 한다.”

강력한 희망을 담다 못해 어떤 절박함마저 엿보이는 이 글은 1947년에 창간된 학생용 과학잡지 <과학시대>의 편집후기에 실린 것이다. 이 문장의 바로 앞에 나오는 내용까지 보면 절박함이 더 생생하다. “과학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지금 새삼스럽게 말하지 않겠다. 독자 여러분이 더 잘 이해할 테니까…. 다만 여러분도 뉴튼이 되고 에디슨이 될 수 있다는 것만 부언해 둔다.”

일제강점기에 간행되었던 교양과학잡지 <과학조선>은 1933년에 창간된 뒤 ‘과학데이’를 제창하는 등 주목할 만한 궤적을 보였다. 그러나 민족운동적 움직임에 신경을 곤두세우던 일제의 탄압을 받다가 친일 어용 성격으로 바뀌었고, 그나마 1944년에 종간되고 말았다. 해방 직전까지 나오던 <조선 과학시대>라는 잡지도 있었으나 필자 대부분이 일본인(창씨개명한 한국인이 포함되었을 수도 있다)이고 언어도 전부 일본어였다. 1945년 2월에 나온 19호를 보면 한국인 필자는 나비연구가로 유명했던 석주명뿐이다. 사실 <조선 과학시대>는 ‘은사기념과학관’(恩賜記念科學館)에서 펴내던 것이라서 처음부터 성격이 뻔할 수밖에 없었다. 은사기념과학관은 1926년 일본 왕의 결혼 축하 하사금으로 경성(지금의 서울)에 건립된 것이다. 태평양전쟁이 발발한 뒤에는 일제가 정책적으로 과학기술 교육을 강조해 이 과학관이 조선총독부 박물관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고 한다.

1945년 일제가 패망한 뒤 1948년에 정부가 수립되기 전까지 남한은 미군정 치하의 ‘해방 공간’ 시기를 지냈다. 이때 나온 과학잡지가 학생용 <과학시대>와 성인용 <현대과학>이다. 둘 다 ‘현대과학사’에서 발행한 것인데, 도중에 발행소 이름이 ‘중앙공업연구소 연구회 출판부’로 바뀐다. 그러고는 1948년에 <과학과 발명>까지 창간해서 세 잡지가 모두 자매지로 나오게 되었다.

1947년 4월에 창간호를 낸 <과학시대>는 독자를 ‘중학생’으로 못박고 있으며, 필자들도 대부분 중학교 선생으로 재직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여기서 몇가지 짚어야 할 점이 있다. 먼저 ‘중학교’란 지금과 같은 3년제가 아니라 6년제 학교를 의미한다. 일제강점기인 1938년에 ‘고등보통학교’가 5년제 중학교로 개편되었고, 이것이 해방 이후 1946년에 미군정하에서 6년제 중학교로 다시 바뀌었다. 즉 이 잡지는 오늘날의 중고등학생에 해당하는 학생층을 모두 독자로 아우르려 한 것이다. 학제가 오늘날처럼 각각 3년제인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분리된 것은 1951년의 일이다. 중학교에 재직하는 필자들이 교사(敎師)가 아닌 ‘교유’(?諭)라고 표기된 것도 눈에 띈다. 교유라는 말은 교사의 일본식 표현이다. 일제강점기를 벗어난 지 몇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일본식 표현이 남아 있었다. <과학시대>는 한동안 교유라는 표현을 쓰다가 나중에야 ‘선생’(先生)으로 바꾸었다.

<현대과학>은 학생이 아닌 성인 독자층을 겨냥하여 낸 종합 교양과학잡지로서 <과학시대>보다 앞서서 1946년에 처음 나왔다. 권말 부록으로 ‘조선과학가총관’(朝鮮科學家總觀)을 연재하였는데, 이는 당시 국내에 있던 과학기술계 인물들의 명단을 분야별로 실은 것으로 이름, 나이, 출신지, 현직, 학력 등을 낱낱이 밝혀놓았다. 각 대학교 교수들과 군정청 및 연구소 등에서 일하던 사람들이 총망라되어 있으며 20대 초반부터 60대 초반까지 연령층도 다양하다. 가장 많이 눈에 띄는 것은 30~40대인데 이들이야말로 해방 공간 이후 한국전쟁 시기를 거쳐 60년대까지 이 땅의 과학기술계를 견인한 세대였을 것이다.

이 잡지들의 간행에 깊이 관여한 인물이 있다. <과학시대>, <현대과학>, <과학과 발명>에는 공통적으로 ‘A.D.H.’라는 필명이 자주 눈에 띄는데, 본명으로 이미 많은 글을 쓰고 있기에 필진이 중복되는 모습을 조금이나마 줄여보려 한 것 아닐까 짐작된다. 바로 이 사람이 일찍이 일제강점기에 <과학조선> 발간에 참여했고 해방공간은 물론 그 이후 20세기 말까지 우리나라의 과학기술계에서 활약한 안동혁(1906~2004)이다. 그는 해방공간에서 중앙공업연구소 소장을 지내며 앞에서 소개한 과학잡지들을 발간했고 한국전쟁이 끝난 뒤엔 상공부 장관을 지내기도 했으며 그 뒤로는 노년기까지 한양대 화학과 교수로 일했다. 우리나라의 근대 과학기술계 발전에 기여한 바가 뚜렷해서 현재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16인 중 한 사람으로 올라 있기도 하다.(이 16인은 고려시대의 최무선부터 20세기 후반의 세계적인 물리학자였던 이휘소까지 우리 역사를 통틀어 위대한 과학기술인으로 선정된 사람들이다.) 우리나라의 과학대중화 역사 연구는 이 안동혁이라는 인물의 생애를 꼼꼼하게 들여다보는 것으로도 상당 부분 성과가 나올 것이다.

박상준 서울SF아카이브 대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초속 9km ‘초음속 강풍’ 부는 외계행성 발견 1.

초속 9km ‘초음속 강풍’ 부는 외계행성 발견

조깅에 스트레칭 더하면 ‘금상첨화’…최적 시간은 ‘4분’ 2.

조깅에 스트레칭 더하면 ‘금상첨화’…최적 시간은 ‘4분’

한국천문학회, 머스크의 스타링크 겨냥 “하늘은 조용해야” 3.

한국천문학회, 머스크의 스타링크 겨냥 “하늘은 조용해야”

테슬라 전기차, 7년째 우주에…소행성인 줄 알았더니 4.

테슬라 전기차, 7년째 우주에…소행성인 줄 알았더니

누가, 왜 음모론에 쉽게 빠져들까 5.

누가, 왜 음모론에 쉽게 빠져들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