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미래

주요 온실가스 농도 모두 최고치 경신

등록 2018-11-23 10:29수정 2018-11-23 11:09

지난해 이산화탄소 405.5ppm
산업혁명 이전보다 45% 증가
메탄·아산화질소도 사상최고
이산화탄소 배출의 주범은 화석연료다. 픽사베이
이산화탄소 배출의 주범은 화석연료다. 픽사베이
지구 온난화를 부르는 주요 온실가스의 대기중 농도가 지난해 모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세계기상기구는 22일 발표한 연례 보고서에서 온실가스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2017년 405.5ppm을 기록해, 종전 최고치였던 2016년보다 2.2ppm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산업혁명 이전의 280ppm에 비해선 45%나 높아진 것이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2015년 400.1ppm으로 산업혁명 이후 처음 400ppm을 넘어섰다.

또 메탄 농도는 1859ppb, 아산화질소 농도는 329.9ppb로 각각 전년 대비 7ppb와 0.9ppb씩 상승했다. 두번째로 중요한 온실가스인 메탄의 60%는 인간활동에 의해 배출되며, 온실가스 효과가 이산화탄소의 20배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산화질소는 40%가 산업공정 등 인간 활동에 의해 배출된다. 메탄과 아산화질소 농도는 산업혁명 이전의 257%, 122% 수준이라고 기상기구는 밝혔다.

페트리 탈라스 세계기상기구 사무총장은 “지구가 지금과 비슷한 이산화탄소 농도를 경험했던 마지막 시기는 기온이 2~3도 더 따뜻하고 해수면이 10~20m 더 높았던 300만~500만년 전이었다”며 온실가스에 대한 경각심을 촉구했다.

온실가스 총배출량의 4분의1은 바다에, 4분의1은 식물 등 생물권에 흡수되며 나머지는 대기중에 오랜 기간 남아 지구 온난화를 초래한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곽노필의 미래창 바로가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