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고 이후 에이아이(AI·인공지능)가 화제가 되면서 사람의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런데 로봇들이 혹사당하다가 인간에게 반기를 들 걱정은 안 해도 될까?
사실 세계 최초의 로봇은 바로 이런 상상에서 탄생했다. 체코의 작가 카렐 차페크가 1920년에 발표한 희곡 ‘R.U.R.’이 그런 설정을 담고 있으며, 이 작품에서 ‘로봇’이라는 말이 처음 등장했다. 이 작품은 곧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고 조선에는 1923년에 춘원 이광수가 ‘인조인’이라는 제목으로 자세한 소개글을 처음 내놓았다. 그리고 1925년에 박영희가 <인조노동자>라는 제목으로 <개벽>에 번역해 싣게 된다.
사실 ‘R.U.R.’의 로봇은 기계가 아닌 유기체 인조인간이었고, 작품의 주제도 과학기술에 대한 불길한 전망이라기보다는 인간의 부조리에 대한 은유였다. 그러나 지금에 와서는 의미심장한 통찰을 담았던 것이 아닌지 되돌아보게 된다.
일본에서 1928년 제작된 ‘학천칙’은 얼굴 표정을 바꾸며 글을 쓸 수 있다고 알려지면서 ‘아시아 최초의 로봇’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듬해 서울에서 열린 조선박람회에서도 전시됐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1927년 독일에서는 프리츠 랑 감독이 영화 <메트로폴리스>를 발표한다. 미래 사회에 자본가와 노동자 계급의 갈등을 다룬 이 대작 에스에프(SF)영화는 ‘마리아’라는 로봇 주인공으로도 유명하다. 작중에서 로봇의 역할은 악역에 가깝지만 워낙 디자인이 훌륭해서 그 뒤 <스타워즈>를 비롯한 여러 에스에프의 로봇들에 영감을 제공했다. 조선에서는 1929년에 수입 개봉되었으며 <상록수>의 작가 심훈이 감상문을 남긴 바 있다. <메트로폴리스>는 영화로는 처음으로 2001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1928년 일본에서는 ‘학천칙’(學天則)이라는 로봇을 만든다. ‘아시아 최초의 로봇’이라는 타이틀이 붙은 이 로봇은 손을 움직여 글씨를 쓰고 얼굴 표정도 바꿀 수 있었다. 높이가 3.5미터에 폭이 3미터로 꽤 큰 편이었는데, 1929년 경성(현재 서울)에서 개최된 조선박람회에서도 전시되었다. 그 뒤 독일에 건너갔다가 분실되었고 설계도도 남아 있지 않다고 한다.
1930년에는 미국의 한 시나리오작가가 영화나 소설에 나오는 이야기 요소들을 재조합하여 무한 수량의 이야기를 제작할 수 있다는 ‘각본 로봇’을 만들었고, 1932년에는 영국에서 ‘노래하고 말하고 웃는’ 로봇이 등장했다. 모두 다 당시 국내 신문에 소개된 내용들이다.
1930년 <동아일보>에 실린 ‘소설 제작 로봇’ 사진.
흥미로운 점은 이렇듯 드물지 않게 로봇이 소개되었음에도 <과학조선>이나 <현대과학> 같은, 일제 강점기 전후의 국내 과학잡지에서는 관련 내용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는 사실이다. 20세기 전반기는 물론이고, 1960년대에 들어서까지도 로봇은 과학기술이 아닌 에스에프라는 문화의 영역에만 머물러 있었다. 더구나 1957년에 ‘스푸트니크 쇼크’가 일어난 뒤에는 꽤 오랫동안 ‘우주’가 과학문화의 대세였다.
실현 가능한 기술로서 인간형 로봇이 진지하게 검토된 것은 컴퓨터 과학이 본격적으로 발전하는 1980년대 이후부터이다. 산업용 로봇은 이미 1960년대 초부터 나왔지만 인간을 닮은 로봇은 몸체를 이루는 기계보다도 그 두뇌인 에이아이가 관건이기 때문이다.
21세기에 접어들자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정보의 총량에서 디지털 형태의 비율이 아날로그를 넘어섰다. (50% 대 50%가 된 2002년을 ‘디지털 시대’의 시작으로 본다.) 그런 추세는 빠르게 진행되어 지금은 전세계 정보의 95% 이상이 디지털 형태인 것으로 추정된다. 즉 세계는 이제 거대한 빅데이터의 시대로 탈바꿈했는데, 이는 인간의 두뇌를 최대한 모방하려는 에이아이가 기계학습을 본격적으로 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것을 의미한다. 이제 우리에게는 인간형 로봇 시대를 앞두고 에이아이에게 ‘휴머니즘’을 학습시켜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서울SF아카이브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