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환경

원안위, 이제서야 “월성원전 부지, 방사성물질 누출” 인정

등록 2021-09-10 17:57수정 2021-12-29 14:36

민간조사단·현안소통협의회, 1차 조사 발표
1997년 차수막 보수 하자 등 유출원인 확인
환경단체들 “부실 원전 안전 관리 실태 드러나”
2019년 말 영구정지된 경북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월성원전 1호기(오른쪽). 연합뉴스
2019년 말 영구정지된 경북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월성원전 1호기(오른쪽). 연합뉴스

월성원전 부지 내 토양과 물에서 세슘-137과 삼중수소 등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고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공식 발표했다. 핵분열 생성 물질 등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차수구조물의 하자가 확인된 1997년부터 최대 20년 이상 방사성 물질이 누출되어왔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원안위는 10일 월성원전 삼중수소 민간조사단과 현안소통협의회가 진행한 삼중수소 제1차 조사 경과를 발표하고 월성원전 부지 내 사용후핵연료 저장조(SFB) 주변 시료에서 삼중수소와 감마핵종 등 방사성 핵종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원안위는 2019년 4월 월성 3호기 터빈갤러리 맨홀 안 고인 물에서 최대 71만3000㏃/L의 삼중수소가 검출된 뒤 인근 주민들의 불안이 커지자 지난 3월 조사에 착수했다.

조사단의 발표를 보면, 월성 1호기 사용후핵연료 저장조 주변 심도 9m가량의 토양 시료에서 감마핵종인 세슘-137이 최대 0.37㏃/g 검출됐다. 고준위 방사성 물질인 세슘-137의 자체 처분 허용농도(0.1㏃/g)보다 3배가량 많은 양이 나온 것이다. 같은 심도의 물 시료에서는 삼중수소 최대 75만6000㏃/L, 세슘-137은 최대 0.14㏃/g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단은 1997년에 월성 1호기 사용후핵연료 저장조 차수막이 원 설계와 달리 시공돼 그 시점 이후부터는 차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조사단은 “사용후핵연료 벽체 저장조의 누설수에서 나타나는 삼중수소 농도(15만~45만Bq/L)보다 주변 물 시료의 농도가 높게 측정되고 감마핵종도 검출돼 추가 유입 경로를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누출 의혹이 처음 불거진 뒤 ‘부인’ 또는 ‘비공개’ 입장을 고수해오던 원안위가 월성원전 부지 내 방사성 물질 유출을 공식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건설 과정부터 위험성이 예견됐고 유출 제보가 쏟아졌지만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적은 없었다. 2013년에도 월성 3호기 일부 관측정에서 삼중수소가 검출됐고, 2017년부턴 검출 농도가 크게 높아졌으나 월성원전을 운영하는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2019년 5월에야 ‘삼중수소 현안 특별팀'을 꾸렸고 이후 조사 결과는 비공개하다가 올 3월 “국민들의 불안이 증대하여 객관적이고 공정한 조사 및 투명한 공개의 필요성이 제기됐다”며 민간조사단을 구성해 이번 결과를 도출했다. <한겨레>는 지난해 말 한수원의 ‘월성원전 부지 내 지하수 삼중수소 관리 현황 및 조치 계획' 보고서를 입수해 고농도의 삼중수소 누출 등의 문제를 지적해온 바 있다.

익명을 요청한 한 원자력 안전 전문가는 “사용후핵연료 저장조의 차수막에 균열이 있고 이로 인해 부지 내 방사성 물질이 유출됐다는 것은 오래전부터 지적된 문제”라며 “그동안 모른 척하던 문제를 이번에 사실로 인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방사성 물질이 새어나가고 있다는 것이 공식적으로 밝혀진 만큼 현재 누출된 물질에 대한 긴급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사단은 방사성 물질의 외부 유출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한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1호기뿐 아니라 월성 2~4호기의 사용후핵연료 저장소의 차수막 상태에 대해서도 조사할 예정이다.

이헌석 정의당 녹색정의위원장은 “부지 내 토양에 방사성 물질 누출된 것이기 때문에 토양 오염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해체 비용도 증가할 수 있다”며 “누출된 방사성 물질의 환경적 영향을 제대로 조사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환경단체들 “힌수원·원안위 직무유기…진상 조사 철저하게 수행”

환경단체들은 ‘인재’라고 규정하고 이를 방치한 원안위·한국수력원자력·원자력안전기술원 등의 책임을 물었다. 그린피스는 “한국 원전 안전 실패의 대표 사례”라며 “(누출된 물질의 안전성은) 세계보건기구가 지정한 음용수 기준의 70배에 해당하는 농도로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로 관리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마리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한수원·원안위·원자력안전기술원 등은 방사성 물질로 인한 지하 환경 오염에 대한 소극적 대응을 멈추고 즉각 인근 주민과 지역 피해 규모에 대한 조사 대책 제시와 함께 누설 차단을 위한 보수 공사에 착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연합도 “(이번 조사 결과는) 그동안 국내 원전의 안전이 얼마나 부실하게 관리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원전의 안전과 국민의 안위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는 한수원과 원안위의 직무유기이며,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문제 없다’는 식의 안일한 태도로 일관해 온 한수원과 원안위의 명백한 과실”이라고 비판했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지금 당장 기후 행동”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윤 훈장 거부’ 교수 “대통령 뽑았는데 1+1로 이상한 사은품…둘 다 불량” 1.

‘윤 훈장 거부’ 교수 “대통령 뽑았는데 1+1로 이상한 사은품…둘 다 불량”

국내서 가장 작게 태어난 ‘260g’ 아기, 7개월 만에 건강히 집으로 2.

국내서 가장 작게 태어난 ‘260g’ 아기, 7개월 만에 건강히 집으로

전세사기 1300건 터진 서울 관악구…“다음 세입자 없는데 제 보증금은요” 3.

전세사기 1300건 터진 서울 관악구…“다음 세입자 없는데 제 보증금은요”

서울대, ‘윤석열 퇴진’ 대자보…“불공정과 비상식의 대명사” 4.

서울대, ‘윤석열 퇴진’ 대자보…“불공정과 비상식의 대명사”

‘유령’에서 이제야 자격 얻었는데…산재로 꺾인 ‘이주민 청년’의 꿈 5.

‘유령’에서 이제야 자격 얻었는데…산재로 꺾인 ‘이주민 청년’의 꿈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