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들이 지난해 4월20일 전북 전주시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 앞에서 국민연금의 석탄발전 투자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연금공단의 지난해 석탄 관련 산업 투자액이 전년보다 약 1조6700억원(14억 달러) 늘어나 전 세계 연기금 중 3위를 기록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민연금은 지난해 5월 ‘탈석탄 투자 선언’을 한 바 있다.
독일 비영리단체 우르게발트, 프랑스의 리클레임 파이낸스, 350.org 일본과 25개 엔지오가 NGO가 함께 발표한 2022년 ‘세계 석탄 퇴출 리스트(Global Coal Exit List)'에 따르면, 국민연금의 석탄 투자액은 회사채 80억1300만달러(약 9조6000억원)과 주식 48억8100만 달러(약 5조8500억원)을 포함 총 128억9400만 달러(약 15조4500억원)로 집계됐다. 기후·에너지 전문 단체인 기후솔루션은 “이것은 전 세계 연기금 중 일본 공적연금(GPIF)과 네덜란드 국부펀드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규모로, 국제 금융권이 기후위기 대응에 적극 나서는 가운데 국민연금의 기후 리스크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세계 석탄 퇴출 리스트에는 대규모 석탄발전소 운영·건설, 석탄 채굴 등 석탄 관련 활동에서 나오는 매출이 전체 매출의 20%를 초과하는 전 세계 1032개 기업과 이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금융기관들의 투자 내역이 담겨 있다. 국내 기업 가운데는 한국전력공사, 포스코, 두산중공업을 포함한 7개 기업이 여기에 올라 있다.
국민연금이 투자한 석탄 관련 기업은 이들 국내 기업과 미국의 전기·가스 공급업체인 듀크에너지, 프랑스전력공사(EDF), 일본의 미쓰비시 등 해외 기업을 포함해 모두 84개에 이른다. 이들 가운데 한국전력공사 투자액이 69억9355만달러(약 8조3700억원)으로 가장 많다. 포스코에 대한 투자액 31억897만달러(약 3조7200억원)를 포함해 두 기업에 석탄 관련 전체 투자의 78% 이상이 집중돼 있다.
국민연금의 지난해 상반기 탈석탄 선언을 했는데도 석탄 투자액이 증가한 것은 신규 석탄발전 사업에 대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투자를 제한한다는 방침만 세우고 구체적인 탈석탄 투자 기준은 마련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연금의 투자가 대부분 채권과 주식투자로 이뤄지고 있는 상태에서 탈석탄을 피에프 투자에만 국한하는 것은 사실상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기후솔루션 한수연 연구원은 “국민연금이 지난해 ‘기후변화 대응을 잘하고 있는지’를 핵심 투자 기준이라고 밝힌 만큼 기후변화를 악화하는 주요 요인으로 손꼽히는 석탄 산업과 석탄 기업들에 대한 명확한 탈석탄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며 “탈석탄 투자를 했음에도 석탄투자 규모가 늘어나는 역설적인 상황을 막기 위해선 현재 작업 중인 국민연금의 탈석탄 실행 방안에 포괄적인 석탄배제 기준에 따른 실질적인 탈석탄 방안을 담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