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은 코로나19 장기화와 러시아발 에너지 위기 등으로 국내외 분위기가 침체됐다. 집중 호우와 태풍 힌남노의 강타, 이태원 참사 발생으로 국민들이 깊은 슬픔에 빠지기도 했다. 반면 경북 봉화군 아연광산에 매몰된 광부가 221시간 만에 기적적으로 생환해 오며 국민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기도 했다. 올 한해를 뜨겁게 달궜던 이슈를 숫자로 돌아보았다.
올해 3월9일 치러졌던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역대 최소 득표율인 0.73%포인트 차로
대통령에 당선됐다. 윤 대통령은 5월10일 취임 이후 집무실을 청와대에서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며 ‘용산 시대’를 열었고, 관저도 한남동 외교부 장관 공관을 개조해 입주하는 등 파격적인 행보를 이어갔다.
지난 8월8일 서울 동작구에 하루 동안 381.5㎜의 폭우가 쏟아졌다. 이 폭우는 비공식 기록으로 서울 일강수량으로는 기상 관측 115년 만에
최고치였다. 서울의 기상 공식기록은 종로구 송월동 관측값을 기준으로 삼는다. 이 비로 서울 강남 일대가 침수됐고, 관악구 신림동에서는 반지하 주택에 살던 일가족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핼러윈을 앞둔 10월29일 밤, 서울 용산구
이태원 일대에서 158명의 대규모 인명 참사가 발생해 전 세계에 큰 충격을 안겼다. 참사 당일 이태원에 대규모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됐음에도 부족했던 경찰 인력 배치와 참사 직전 4시간가량 이어진 11건의 112신고에 대한 부실 대응으로 국가 재난대응시스템의 민낯이 그대로 드러났다.
매몰 사고 221시간 만의 극적인 생환. 경북 봉화군 한 아연광산에서 매몰돼 고립됐던
광부 박정하(62)씨와 박아무개(56)씨가 기적적으로 돌아왔다. 사고는 작업 도중 제1 수직갱도에서 300∼900톤의 토사가 쏟아지며 발생했다. 이들은 고립 당시 지하 190m 갱도에서 커피믹스로 열흘을 버틴 것으로 알려지며 국민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었다.
지난 10월15일 에스케이 씨엔씨(SK C&C) 판교 데이터 센터 화재로
카카오 서비스 장애가 장기화돼 4750만명에 달하는 국민들이 일상 속 작고 큰 불편을 겪었다. 카카오톡부터 카카오티(T),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페이, 포털 ‘다음’까지 서비스 전방위로 장애가 이어졌다. 서비스의 완전 정상화까지 걸린 시간은 127시간30분이었으며, 이로 인해 디지털 플랫폼 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 필요성이 제기됐다.
세계인구가 80억명을 돌파했다. 1974년 40억명을 돌파한 뒤 48년 만에 두 배가 되었다. 유엔은 공중보건과 영양, 개인위생과 의학의 발전으로 평균 수명이 증가하고, 일부 국가에서 높은 출산율이 유지된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유엔 통계에 따르면 현재 세계인구의 61%가 아시아에 몰려 있으며, 중국과 인도가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무인기 영공 침범 같은
무력 도발이 올해 41회(12월26일 기준) 감행됐다
. 북한의 핵·미사일 활동 공식 집계가 이뤄진 1984년 이후 최다 도발이었으며, 그 뒤로 2016년 25회, 2014년 18회 순이다. 5월10일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12월26일까지 26회의 도발이 있었고, 나머지 15회는 1월∼5월 대통령 선거 및 정권 교체를 앞두고 단행됐다.
현행 1주 최대 52시간인 노동시간이 최대 80.5시간까지 가능해지는 등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는
노동시장 개편안이 공개됐다. 현재 주 12시간으로 제한된 연장근로 시간을 월·분기·반기·연 단위로 확대하면 1주일에 근무 가능한 시간은 주 6일 근무 시 최대 69시간, 주 7일 근무 시 최대 80.5시간으로 늘어나게 된다.
국제환경인권단체인
글로벌 위트니스가 지난 9월 발표한 ‘저항의 10년’ 보고서를 보면, 지난 10년간(2012∼2021년) 전 세계 환경운동가와 원주민 등 1733명이 산림벌채, 채굴 등에 저항하다 목숨을 잃었다. 브라질(342명), 콜롬비아(322명), 필리핀(270명) 사망자가 전체 사망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유엔은 지난 9월 펴낸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보고서에서 지금과 같은 변화 속도라면 전 세계적으로 완전한
성평등을 달성하기까지 약 286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제사회는 2015년 9월 유엔 총회에서 성평등을 주요 의제로 삼고 이를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할 목표로 삼았지만, 여성가족부 폐지 추진 등 한국의 정책 수단은 거꾸로 가고 있다.
최문정 기자
anna.choi@hani.co.kr, 오세진 기자
5sjin@hani.co.kr, 김윤주 기자
kyj@hani.co.kr, 기민도 기자
key@hani.co.kr, 그래픽_백지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