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8년 서울 강남구 논현동 이명박 전 대통령의 자택에서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가운데 앞), 김효재 전 대통령실 정무수석(왼쪽) 등이 차에 탄 채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차기 방송통신위원장으로 거론되는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별보좌관 아들의 학교폭력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학생 선도위원회’가 아들의 전학을 결정했다는 이 특보의 해명과 달리 선도위가 열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어떤 공식 징계 절차도 거치지 않은 채 아들이 스스로 학교를 옮기는 것으로 당시 사태가 정리된 것으로 보인다.
9일 <한겨레>가 장경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받은 하나고 답변 자료를 보면, 하나고는 2012년 이 특보의 아들 이씨(28)의 문제를 다루기 위한 선도위원회를 개최하지 않았다고 답변했다. 하나고는 답변자료에서 “2012년 이 특보 아들에 대한 학생선도위원회가 개최된 사실이 없으며, 이에 따라 관련 자료 또한 없다”고 밝혔다.
선도위원회(현재 이름은 ‘학생생활교육위원회’)는 학교폭력을 제외한 학생의 비위 행위를 검토하고 처분을 내리는 기구다. ‘학교 폭력이 아니므로 학교폭력위원회는 개최할 필요가 없었고, 대신 선도위가 열려 강제 전학을 결정했다. 억울했지만 수용했다’는 이 특보의 해명과 배치된다. 이 특보는 “자사고 재학생이 일반고로 전학 가게 될 경우 학교의 커리큘럼이 완전히 달라 대학입시에 상당한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과 이에 대한 우려가 큰데도 이를 수용했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하나고는 2011년부터 2012년 3월까지 이동관 특보의 아들로부터 괴롭힘을 당한 피해 학생 중 2명에게서 학교폭력 피해 신고를 받았으나 학폭위를 개최하지 않고 담임이 종결 처리했다. 이 특보 아들의 입시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하나고가 학폭위를 일부러 열지 않았다는 의혹이 일었다.
학교폭력위원회는커녕 선도위조차 열리지 않은 것과 관련해 이름 밝히길 거부한 학폭 전문 변호사는 <한겨레>에 “생활기록부 기재를 피하려고 피해자에게 ‘합의해주면 전학가겠다. 대신 공식 절차를 밟지 말아달라’고 한 뒤 대입에 지장 없도록 기록이 남지 않는 자진 전학 형태로 학교를 옮긴 것 같다. 그런 방식은 당시 공식 기록을 피하기 위한 전형적인 수법 중 하나였다”고 설명했다.
장경태 의원은 “학교 절차에 따라 자녀의 전학이 진행됐다는 해명이 거짓으로 판명 나면서 학교폭력 규정을 무시하고 신속히 전학 처리해 사태를 봉합하려 했다는 강한 의심이 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해명 자체를 믿을 수 없게 된 만큼 공식 절차를 통해 철저하게 진상이 규명돼야 한다”고 했다.
이 특보 쪽은 <한겨레>에 2015년 8월 서울시의회 회의록을 보내며 “교장의 발언을 참고해달라”고 했다. 당시 하나고 교장은 “본인은 장난으로 했겠지만 상대방 학생들은 피해를 받았기 때문에 문제가 됐고, 그래서 선도위에서 권고전학을 하기로 했다”고 발언했다. 그러나 서울시교육청은 이날 <한겨레>에 “하나고에서 답변한 그대로다. 선도위 개최 사실이 없다고 한다”고 답했다.
고병찬 기자
kic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