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 운용사인 차파트너스자산운용 누리집 갈무리
차파트너스자산운용은 2019년 6월 설립된 경영참여형 사모펀드 운용사다. 이 회사 누리집을 보면, ‘인프라 및 대체투자 분야에서 뛰어난 전문성을 갖춘 투자 전문가들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 회사’라고 소개하고 있다.
이 회사의 설립자이자 최대 주주인 차종현 대표이사와 공동대표인 김주원 대표이사, 김석원 상무 등은 모두 맥쿼리인프라 출신이다. 맥쿼리인프라는 도로·철도의 민자사업에 투자해 투자금을 회수하고 그 과정에서 국민 부담을 가중시켜온 대표적인 외국 자본이다.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8년 12월 서울지하철 9호선 사업에 투자한 뒤 최소운영수입보장 조건에 따라 서울시로부터 매년 수백억원씩을 챙겼다. 2012년에는 기본요금을 1050원에서 1550원으로 인상하겠다고 기습 발표했다가 서울시와 갈등을 빚고 2013년 10월 사업에서 철수했다. 이때 주식 매매 차익으로만 284억원을 챙겨 ‘먹튀’ 논란을 일으켰다.
맥쿼리 출신 경영진이 만든 차파트너스가 이번에는 준공영제로 인해 적자를 내도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지원으로 적정 이윤을 보장받는 시내버스 사업에 뛰어들어 지하철 9호선 사태 때와 같이 공공교통 인프라 체계에 혼란을 일으키고 ‘먹튀’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는 건 이런 까닭에서다.
이에 대해 맥쿼리자산운용 박진욱 전무는 <한겨레>에 보내온 입장문에서 “맥쿼리인프라는 국내 기관 투자자 비중 43%, 국내 개인 투자자 비중이 43%로 총 국내 투자자 비중이 86%에 이르는 국내에서 가장 큰 상장펀드”라며 “재정이 부족한 정부가 꼭 필요한 사회기반시설을 확보하기 위해 만든 제도가 민자 사업이다. 맥쿼리가 국민 부담을 가중한 것이 아니라 정부와 체결한 계약에 근거해 집행하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더욱 우려되는 건 차파트너스의 엑시트(투자금 회수) 이후다. 차파트너스가 버스 준공영제를 활용해 ‘단기간 고수익 회수’의 물꼬를 트면서 공공성에 대한 고려 없이 이익 추구에만 집중하는 또 다른 금융 자본들이 뛰어들어 공공교통 인프라 체계를 더욱 황폐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재훈 기자
na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