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전 서울대학교 신양인문학술정보관에서 한국역사학회 등 역사 단체 51곳이 ‘홍범도 흉상 철거 반대 역사단체 공동 성명서 발표 및 기자회견’을 열었다. 왼쪽부터 박윤재 한국근현대사학회 회장, 정병욱 역사문제연구소 소장, 박흥식 역사학회 회장, 이진한 한국사연구회 회장, 강혜경 한국민족운동사학회 회장, 윤세병 역사교육연구소 소장. 윤연정 기자 yj2gaze@hani.co.kr
국방부가 육군사관학교에 있는 홍범도 장군 흉상을 이전하기로 결정한데 대해, 국내 대표 역사학계 학회인 ‘역사학회’ 등 역사단체 51곳이 흉상 철거 철회를 촉구했다. 역사단체들은 윤석열 정부가 사실 왜곡으로 독립운동 역사를 부정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들 단체는 13일 오전 서울대 신양인문학술정보관에서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 반대 역사단체 공동 성명서’를 내고 “국방부는 홍범도 장군의 소련공산당 가입 및 활동 이력을 문제 삼았고, 윤석열 대통령은 ‘이념이 중요하다’, 국가안보실장은 ‘홍범도 장군의 후반기 삶이 육사 교육에 맞지 않다’고 했다”며 “육사와 국방부의 독립운동 역사 지우기, 독립운동에 대한 색깔론 제기가 윤석열 정부와 공감 속에서 이루졌다는 점이 명백해졌다”고 주장했다.
역사단체들은 육사와 국방부, 정부의 왜곡으로 대한민국의 자랑인 홍범도 장군이 ‘부관참시’당했다고 밝힌 뒤 “이역만리 타국에서 생을 마감한 한 독립운동가의 삶을 편협한 주관에 따라 재단하는 것을 역사·역사교육 연구자들은 지켜볼 수 없다”며 흉상 철거 주장 논리를 조목조목 반박했다.
우선 홍범도 장군이 ‘자유시 참변’ 당시 독립군 살상에 참여했다는 주장에 대해 역사 단체는 “그동안 역사학계는 다양한 자료를 비교·분석해 자유시참변의 기본 성격이 통합 방법을 둘러싼 독립군 부대들의 내분이었음을 밝혀냈다”며 “사망자를 낳은 무장해제의 책임은 고려혁명군 지휘부에 있었으며 홍범도는 유혈 사태를 우려했고 무장해제에 가담하지 않았다 ”고 밝혔다. 자유시 참변은 1921년 6월 소련 극동 공화국 아무르 주 자유시에서 소련 적군이 무장해제를 거부한 대한의용군을 무력 진압한 사건이다.
홍범도가 ‘빨치산이었기에 공산주의였다’는 주장에 대해선 “빨치산은 비정규군이라는 뜻으로 일제강점기에 독립군이나 의병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됐다”며 “봉오동전투, 청산리전투에서 홍범도가 이끈 빨치산 부대는 3·1운동 이후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부대이자 독립전쟁의 주역”이라고 설명했다.
홍범도의 소련공산당 입당 사실을 문제 삼은 것과 관련해선 “일제강점기에 공산주의는 독립운동의 한 방편이었고 좌우를 막론하고 독립운동 세력은 소련에 기대하는 바가 컸다”며 “홍범도는 1922년 모스크바의 원동민족혁명단체회의에 참석하면서 ‘입국신고서’에 직업은 ‘의병’, 입국 목적과 희망은 ‘고려 독립’이라고 썼다”고 밝혔다. 시대적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역사 단체들은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가 돌출된 사태가 아니라 현 정부가 벌인 일련의 ‘역사 부정’과 맥을 같이 한다는 점에 깊이 우려한다”며 “현 정부는 이승만 중심의 건국사만을 대한민국의 정통으로 강조하고 그와 결이 다른, 다양하고 풍부한 독립운동사를 배제하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또 “정부가 이번 사태에 대한 반성 없이 독립운동사 왜곡, 민주주의 파괴자 기념, 역사 교과서 개악으로 나아간다면, 우리 역사 연구자들은 세 번째, 네 번째 목소리를 더 크게 모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연정 기자
yj2gaz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