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판 전 청장 수사방해 드러나자
“경찰 ‘국정원 수사’ 불공정 사과합니다”
일선 경찰들, 페북에 사과 포스터
“경찰 ‘국정원 수사’ 불공정 사과합니다”
일선 경찰들, 페북에 사과 포스터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이 국가정보원의 불법 선거개입 사건 수사를 방해한 것으로 드러나자 현장 경찰들이 자발적으로 자성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6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페이스북에 ‘사과 그림’이 붙은 포스터가 잇달아 게재됐다. 서울시내 한 경찰서 직원이 만든 것으로 알려진 이 포스터는 △경찰의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지 못하여 수사의 공정성을 해쳤던 점 △조직내 민주주의를 지키지 못하여 부당한 명령이 가능한 조직으로 만든 점 등을 사과한다는 의미를 비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황정인 서울 강남경찰서 수사과장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경찰 정복을 입고 ‘국민 여러분! 죄송합니다. 경찰은! 거듭나야 합니다’라고 적은 손팻말을 든 사진을 올렸다. 황 과장은 게시글에서 “수사기관으로서 국민에게 최소한의 신뢰마저 송두리째 잃었다. 이제 앞으로 어떻게 국민 앞에 서서 수사결과를 발표할 것인가? 그 수사결과 발표를 누가 믿어 줄 것인가? 무슨 낯으로 믿어달라고 할 것인가?”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재발 방지 대책은 사건 관련자 전원에게 가혹한 처벌을 하는 것으로 시작해야 한다. 조직이 깨지는 아픔을 겪을 각오로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경찰의 미래는 없다”고 덧붙였다.
‘제2의 김용판 사건’을 막을 개선 방안 필요성도 제기됐다. 서울 일선 경찰서의 경정급 경찰 간부는 “아무리 상부의 지시가 있었더라도 경찰 조직에서 그런 일을 벌였다는 것이 납득되지 않는다”며 “경찰법을 개정해 상부에 대한 이의제기권을 강화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경찰관은 “상명하복이 철저한 지금의 구조에서는 비슷한 일이 계속 반복될 것 같다. 경찰 내부에 직장협의회를 설치하는 등 경찰 내 소통구조를 개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선 경찰의 자발적인 자성과 달리 경찰청은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성한 경찰청장은 “검찰 수사결과가 나오기는 했지만 아직 좀더 지켜봐야 할 때인 것 같다. 사과 입장을 내는 것은 고민해 보겠다”고 말했다.
허재현 엄지원 기자 catalunia@hani.co.kr
‘국정원 입닫은 박근혜’, 노무현에 배워라[한겨레캐스트 #116]
<한겨레 인기기사>
■ 심기불편 청와대 “박 대통령 만난 사람 이재용 부회장이 또…”
■ 고엽제전우회가 전두환 체포에 나선 사연
■ [인터뷰] 예일대 수학과 312년만에 첫 여성교수 부임하는 오희 교수
■ 27개월 지향이의 죽음 알고보니…5명의 ‘나쁜 어른들’ 있었다
■ [화보] 불타는 터키…강제진압과 저항
■ 심기불편 청와대 “박 대통령 만난 사람 이재용 부회장이 또…”
■ 고엽제전우회가 전두환 체포에 나선 사연
■ [인터뷰] 예일대 수학과 312년만에 첫 여성교수 부임하는 오희 교수
■ 27개월 지향이의 죽음 알고보니…5명의 ‘나쁜 어른들’ 있었다
■ [화보] 불타는 터키…강제진압과 저항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