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삭제 안되고 남은 댓글만 수사 ‘빙산의 일각’일수도 있는데…

등록 2013-06-16 20:41수정 2013-06-18 03:00

새누리·일부언론 “73건 불과”
숫자 ‘착시’ 앞세워 본질 흐려
“글이 남아 있는 것 자체가 이상한 거다. 제대로 활동하는 국정원 요원들은 누리집 게시판에 작성한 글이 다른 글들에 밀려 첫 화면에서 사라지면 통상 지운다. 정보기관이 왜 아무도 안 보는 글을 남겨두지?”

국가정보원의 대선 여론조작 및 정치개입 사건을 수사한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윤석열) 관계자의 말이다. 실제 국정원 직원들은 선거·정치 개입 관련 글을 올린 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모두 삭제했고, 이번에 검찰이 찾아낸 글은 이들이 ‘실수로’ 지우지 못한 극히 일부라고 본다는 뜻이다.

또다른 수사팀 관계자는 16일 “수사팀 안에서는 국정원 직원들이 게시글에 찬반 클릭을 한 규모를 토대로 삭제하기 전의 게시글 전체 규모를 추정할 수 있겠다는 얘기도 있었다”고 전했다. 게시글은 쓴 사람이 직접 지울 수 있는 것과 달리, 다른 사람이 쓴 글에 찬반 클릭을 하면 본문이 지워지지 않는 한 클릭한 흔적을 지울 수 없기 때문이다. 검찰 수사 결과, 국정원 직원들은 ‘대선’ 관련 찬반 클릭을 1281차례 했다. ‘정치’ 관련은 435건이었고. ‘북한·종북’ 관련은 143건에 불과했다. 검찰은 국정원 직원들이 일반인을 가장하려고 일부러 ‘신변잡기’ 관련 글에 많은 클릭(2961건)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런 글을 빼고 보면 전체 클릭 가운데 대선 관련은 57.9%, 정치 관련은 19.6%였다. 반면, 북한·종북 관련은 6.5%에 불과했다.

그런데도 새누리당과 일부 언론은 ‘드러난 불법 게시글의 규모가 얼마 되지 않는다’며 검찰 수사 결과를 왜곡하고 있다. 김태흠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지난 14일 검찰 수사 발표 뒤 브리핑에서 “국정원 직원 댓글 중 검찰이 선거개입이라고 적용한 것은 67건으로 전체 댓글 1760건 가운데 3.8%에 불과하다”며 <조선일보> 14일치 보도의 ‘틀린’ 수치를 그대로 옮겨 말했다.

하지만 검찰은 최종 수사 결과 발표에서 원세훈(62) 전 국정원장에게 선거법 위반 혐의를 적용한 글은 73건이고, 그나마 국정원 직원들이 ‘실수로’ 삭제하지 못한 것일 뿐이라고 밝혔다. 수사팀 관계자는 “지난해 연말부터 올 연초까지 국정원 직원이 이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아이디 수백개가 회원을 탈퇴하고 관련 글이 삭제됐다. 포털 다음의 토론게시판 ‘아고라’에는 지난해 7월 이후 국정원 직원 아이디로 쓴 글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아, 모두 삭제된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지우고 남은 것만 찾아낸 것이다”라고 말했다.

더욱이 검찰은 현재 국정원 직원의 것으로 의심되는 트위터 계정을 통해 쓴 글 가운데 320여건, 국정원 본부 인터넷주소(IP)를 통해 쓴 글 가운데 60여건을 ‘선거 개입’ 관련 글이라고 보고 수사하고 있다. 또 국정원 직원들이 지(G)메일, 야후메일과 같은 외국 업체의 전자우편을 통해 ‘오늘의 유머’(오유), ‘일간베스트저장소’(일베) 등 사이트에 가입했을 때 해당 전자우편 주소가 국정원 직원의 것인지 확인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면, 검찰이 국정원 직원들이 쓴 글을 모두 찾아냈다고 보기는 더더욱 힘들다. 검찰 관계자는 “(외국 업체 전자우편으로 가입한 사람의 신원 확인에 대해) 완전히 불가능하진 않지만 어려운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조선일보>는 15일치 보도에서 국정원 직원들이 게시글을 올린 오유·일베 등의 사이트 방문 순위가 모두 50위권 밖이라며 ‘적극적 당선·낙선에 대한 목적의식’이 있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국정원 직원들이 다음 ‘아고라’와 네이트 ‘판’과 같은 포털업계 2·4위 업체 토론방에서 활동한 사실도 검찰 수사에서 드러났다. 아고라에서는 2009년 2월14일부터 지난해 7월까지 국정원 직원들이 특정 정당과 정치인을 지지하거나 비방하는 글을 모두 1415차례 작성했다. 글이 모두 삭제된 지난해 7월 이후 기간에는 이 토론방에 대선 관련 글을 많이 올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포털업계 1위 ‘네이버’는 토론방이 없어 이들의 활동 대상이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김선식 기자 kss@hani.co.kr

‘국정원 입닫은 박근혜’, 노무현에 배워라[한겨레캐스트 #116]

<한겨레 인기기사>

심기불편 청와대 “박 대통령 만난 사람 이재용 부회장이 또…”
고엽제전우회가 전두환 체포에 나선 사연
[인터뷰] 예일대 수학과 312년만에 첫 여성교수 부임하는 오희 교수
27개월 지향이의 죽음 알고보니…5명의 ‘나쁜 어른들’ 있었다
[화보] 불타는 터키…강제진압과 저항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안희정 쪽 ‘피해자 괴롭히기’ 끝나지 않았다 1.

안희정 쪽 ‘피해자 괴롭히기’ 끝나지 않았다

140억배럴 산유국 ‘헛꿈’…석유·가스 개발 “원점 재검토해야” 2.

140억배럴 산유국 ‘헛꿈’…석유·가스 개발 “원점 재검토해야”

윤석열 ‘대왕고래’ 8달 만에 실패…산업부 “경제성 없다” 3.

윤석열 ‘대왕고래’ 8달 만에 실패…산업부 “경제성 없다”

누나 생일엔 일어나길 바랐지만…6명에 생명 주고 간 방사선사 4.

누나 생일엔 일어나길 바랐지만…6명에 생명 주고 간 방사선사

[단독] 이진우, 윤석열 폭음 만찬 직후 ‘한동훈’ 검색…11월 계엄 준비 정황 5.

[단독] 이진우, 윤석열 폭음 만찬 직후 ‘한동훈’ 검색…11월 계엄 준비 정황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