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나·양승조 의원 제명 추진에 SNS서 비판·풍자 잇따라
“생각 다르지만 제명하면 ‘대통령 하야’ 투쟁에 앞장설 것”
새누리의 국정원 개혁 특위 연기엔 “결국 이게 목적” 비판
“생각 다르지만 제명하면 ‘대통령 하야’ 투쟁에 앞장설 것”
새누리의 국정원 개혁 특위 연기엔 “결국 이게 목적” 비판
청와대와 새누리당이 박근혜 대통령의 사퇴를 요구한 장하나 민주당 의원과 “박정희 전 대통령처럼 비극적 결말을 맞을 수 있다”고 한 양승조 민주당 의원의 발언을 문제 삼아 제명을 추진하고 국정원 개혁 특위까지 무기한 연기한 것에 대해 트위터 등 SNS에서는 ‘과잉 대응’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노회찬 전 정의당 의원은 트위터에서 “대통령 사퇴를 요구한 장하나 의원과 생각이 다르지만 ‘대통령사퇴’를 주장했다고 해서 장하나 의원을 제명 처리한다면 모든 것을 걸고 ‘대통령 하야’를 위한 투쟁에 앞장설 것을 다짐합니다”라고 밝혔다. 한 누리꾼(아이디 @jh****)도 “개인적으로 장하나 의원의 대선 불복 발언에 대해서 반대하고 어처구니없는 일이라고 생각하지만, 이걸 윤리위 제소나 의원직 제명까지 가는 것은 ‘오버’다. 정치적으로 비난받고 책임지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다른 누리꾼(@so****)은 “대한민국이 박근혜 정부와 새누리당이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국회의원 하나쯤은 제명 처리할 수 있는 사유화된 국가인가? 어떻게 새누리당이 장하나 의원을 제명하겠다는 말을 할 수가 있나, 오만도 이런 오만이 있나”고 비판했다.
양 의원의 발언을 두고 청와대가 “테러”라며 거세게 반발한 데 대해서는 ‘난독증’ ‘침소봉대’라는 비판이 많았다. 김진애 전 민주당 의원은 “어제는 장하나, 오늘은 양승조 의원 발언에 새누리-청와대 완전 의역-침소봉대해서 선동 나섰군요. 국회의원이 자신의 의견을 못밝히면 누가 밝히나?”라는 글을 트윗에 남겼다. 다른 누리꾼(@xl***)은 “‘박근혜 대통령은 박정희 대통령의 전철을 밟고 있다는 국민의 경고를 새겨들어야 한다’ 이 말이 어떻게 암살 선동이 되는거지?”라고 되물었다.
또 새누리당이 두 의원의 발언을 빌미로 국정원 개혁 특위를 무기한 연기한 것을 두고서는 ‘과잉 대응의 진짜 목적이 드러났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기식 민주당 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특검에 이어 특위까지 무력화하려는 것. 이것이 새누리당의 호들갑과 황당한 정치 공세의 의도이고, 이 사태의 본질”이라고 밝혔다. 정중규 대구대학교 한국재활정보연구소 부소장도 “양승조, 장하나 발언에 박근혜-청와대-새누리당이 격앙하고 국정원 개혁 특위를 연기한 것은 결국 이것이 목적?”이라고 꼬집었다.
두 의원에 대한 제명 추진을 김정은의 ‘장성택 숙청’에 빗대 풍자하는 글도 올라 왔다. 진중권 동양대 교수는 트위터에서 “양승조-장하나 제명해야죠. 남조선 ‘절대 존엄’을 모독했으니…”라고 꼬집었다. 진 교수는 “노무현 대통령 시절, 야당 의원들은 대통령을 ‘노가리’ ‘육시럴 놈’이라 불렀지요”라며 한나라당(새누리당의 전신)의 과거 행태를 지적한 뒤 “아직도 대한민국이 대통령을 마음대로 비난해도 되는 민주공화국이라 착각하는 분들이 계세요. 이제부터 저는 그분을 남조선 ‘최고 존엄’이라 부르겠습니다”라고 풍자했다. 그는 또 “‘박정희 정권의 몰락은 김영삼 의원의 제명으로부터 시작됐습니다’라고 충언을 드리고 싶지만, 그렇게 말하면 청와대에서 최고존엄을 보필하는 이정현 홍보수석께서 입에 거품을 물고 ‘교수가 최고존엄의 암살과 테러를 암시했다’고 하실까봐 꾹 참겠습니다”라고 덧붙였다.
조국 서울대 교수도 트위터를 통해 “북에서 장성택을 숙청하니, 남에선 양승조, 장하나를 제명하자 하는구나. 남북에서 각각 ‘유일지도체제’가 서려는가”라고 개탄했다.
온라인뉴스팀
박근혜 1년, 경제민주화·복지 날아간 자리에 공안정국
장하나(왼쪽) 양승조 민주당 의원
진중권 동양대 교수 트위터 캡쳐.
![](http://img.hani.co.kr/section-image/12/news/hani/images/com/ico/ico_movie.gif)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