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등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원자력안전위원회 앞에서 방사성물질 라돈이 검출된 대진침대의 소비자피해보상 등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에서 한 피해자가 증언을 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대진침대 매트리스 7종에서 발암물질 ‘라돈’이 검출돼 소비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이 침대를 사용했던 피해자들의 집단소송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라돈 침대’ 피해자들의 집단소송을 준비하고 있는 법무법인 태율의 김지예 변호사는 22일 <한겨레>와 통화에서 “소송을 위임한 피해자들이 22일 기준 2800명에 달한다”며 “고소인 명단을 정리해 23일 서울중앙지검에 1차 고소장을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당 법무법인은 오는 28일 온라인을 통해 2차로 소송 위임자를 모집할 예정이다. 김 변호사는 “소송 위임을 신청한 피해자 20명에 19명꼴로 라돈 검출 기준치가 넘는 것으로 나오고 있다”며 “피해자들이 직접 라돈 수치를 측정하는 동영상 등 소송 관련 자료를 모으는 데 2~3주 정도의 기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네이버 카페 ‘대진침대 라돈 사건 집단소송’에도 피해를 호소하는 글들이 이어지고 있다. 피해자들은 직접 진단서를 받아 온라인에 올리는 등 신체적·정신적 피해 내용을 공유하는가 하면, 소송과 관련된 정보를 주고받고 있다. 한 대에 20만원에 달하는 측정기 ‘라돈아이’ 대여를 부탁하는 글도 수십여 건 올라온 상태다. 지난 4일 개설된 이 카페는 22일 오후 기준 1만4000여명이 가입했다.
정부의 대책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청와대 청원 누리집에는 ‘라돈 침대’와 관련한 진상 규명과 대응을 촉구하는 청원글이 60여건 올라왔다. 한국소비자원에는 지난 18일까지 2320여건의 소비자 피해 문의가 접수됐고, 집단분쟁조정 신청에 나선 피해 건수도 98건에 달했다.
황금비 기자
with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