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메뉴가 된 ‘집밥’…정성스레 대접하는 ‘쟁반 한식’

등록 2023-10-14 08:00수정 2023-12-04 17:48

이윤화의 길라잡이 맛집 _ 쟁반 한식

‘맛있는밥상 차림’의 코다리갈비반상.
‘맛있는밥상 차림’의 코다리갈비반상.

10여년 전에 식당에서 ‘집밥 ’을 표방하는 카피가 유행한 적이 있었다 . 여러 음식점이 집밥이라고 써 붙여 놓고 영업을 했다. 어느 날 모 신문사 기자가 내게 전화를 했다 . “여기저기 식당에서 집밥을 판다고 쓰여있는데 , 이게 진짜 집밥 맞나요 ?”라고 물었다 . 난 “그게 어떻게 집밥이에요 ? 식당에서 파는데 식당 밥이죠 ”라고 답했다 .

애초 ‘집밥 ’의 정의 그대로 해석하고 있던 내게는 집밥을 하나의 메뉴나 장르로 인식한 이 물음이 신선하게 다가왔다 . 실제로 그때나 지금이나 많은 식당에서 간이 약한 반찬을 줄줄이 내놓으며 집밥이라고 이름 붙여 판매하거나, 심지어 어떤 식당은 시답잖은 가공 반찬을 소박하게 담아놓고 ‘집밥보다 더 집밥 같은’이라는 카피로 그럴싸하게 포장하기도 한다 . 이렇듯 식당의 집밥 카피는 외식으로 끼니를 이어가야 하는 현대인의 고향 집에 대한 깊은 갈구를 미끼로 잡아 끌어올리는 것이리라 .

집밥 추구형 한식집은 여러 분류로 나뉘게 됐다 . 찌개에 그날의 여러 반찬을 놓고 먹는 백반형은 스테디셀러다. 조금 더 정성스러운 스타일로는 사각 또는 원형의 쟁반에 찬과 밥 , 국을 가지런히 담아내는 형태다 . 물 한잔을 가져다줄 때도 격식을 보태려면 쟁반을 받치기 마련인데 같은 찬과 국이라도 한 쟁반에 가지런히 담아내는 담음새 덕인지, 대접받는 기분이 든다. 한눈에 들어오는 각각의 찬들이 선명하게 존재감을 드러내 골고루 손이 가게 된다 . 나는 이를 ‘쟁반 한식’이라 이름 붙였다 .

‘고슬미담’의 비빔밥.
‘고슬미담’의 비빔밥.

쟁반 한식이 생소했던 초기에는 ‘나만의 구역’ 형태의 식사 형태가 ‘정이 떨어진다’고 주장하는 이도 있었지만 어느덧 쟁반 한식은 소박한 밥집부터 호텔 한식까지 보편화되고 있다 . 또한 하나의 찌개에 여러 사람의 숟가락을 꽂거나 반찬을 공유하는 식사법은 위생적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한다는 말들이 지속적으로 나왔는데 팬데믹을 지나며 이러한 사회적 인식은 더욱 확고해졌다 .

우리 전통 상차림을 찾아보면 갑오 (1894년 ) 이전에는 외상이 기본이었다는 기록을 외국 사신의 접대나 의례 등 상류층 음식 자취를 기록한 그림이나 책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일제강점기를 거치고 현대에 오면서 함께 먹는 겸상 , 혼상이 생활화 됐다. 물론 신분의 격차가 없어짐도 일조했다 .

어릴 적 가족이 많았기에 두리반(둥근 소반) 차림으로 밥을 먹었다 . 저녁 때에는 그날 있었던 에피소드를 서로 자랑하려고 늘 시끄러웠던 밥상 시간이 생각난다 . 같이 밥을 먹던 남매는 어느새 나이를 먹고 흩어져 일 년에 밥 한번 같이 먹는 횟수를 한 손에 꼽게 됐고 코로나19 터널을 지나며 식당 밥을 홀로 먹는 것에도 익숙한 도시 생활인이 됐다 . 더구나 1인 가구 , 혹은 맞벌이 가정이 일반화됐고 집밥을 챙겨 먹는 것이 여의치 않고 혼밥을 하는 것이 외롭기는커녕 가장 편안하다는 추세다. 그 덕분인지 혼자 먹기에도 적합하고 식당 입장에선 반찬 낭비도 줄일 수 있는 쟁반 한식의 종류는 날이 갈수록 다채로워지고 있으며, 그 형태도 진화하고 있다 . 쟁반 안에 여백을 살리면서 메인에 힘을 주는 단품 반상의 형태도 있으며 작은 백반 상차림처럼 여러 찬과 국, 밥을 조합해 옹기종기 형상을 만드는 밥상도 있다 . 소개하는 쟁반 한식의 공통점은 ‘건강한 정성’이다 .

‘원뜰’의 벚꽃정식.
‘원뜰’의 벚꽃정식.

‘맛있는밥상 차림’은 손잡이가 있는 나무 사각 쟁반에 달걀찜, 샐러드, 나물, 두부 부침, 김치 등에 잡곡밥, 국 그리고 코다리 갈비구이가 나온다. 연한 간장 양념이 슴슴하게 밴 가시를 뺀 코다리를 기름에 지져 고소함이 넘쳐난다 . 국은 어릴 적 맛봤던 시골된장국 맛이다 . 달걀찜은 세상 부드럽다 . 혼신의 힘을 다하는 오너가 쟁반 한식을 차린다 .(서울 마포구 월드컵북로 44길 76 2층 / 02-308-0011/코다리갈비반상 2만원)

‘고슬미담’은 고슬고슬하게 지은 밥에 나물을 넣고 비벼 먹는 비빔밥 . 비빔밥에 진심을 가진 실력 셰프가 차린 깔끔한 식당이다 . 둥근 쟁반에 백색 자기의 비빔 대접과 밥 , 물김치 , 깍두기 등 필요한 반찬만 담았다 . 소박하지만 제대로 밥 한 끼를 대접받는 기분을 느낄 수 있으며 홀로 외식에도 제격이다 .(서울 서초구 방배천로 14길 20 / 0507-1334-4519 / 모둠나물비빔밥 1만원부터)

‘원뜰’은 조용한 동네에 사는 지인의 집에 초대된 듯한 분위기의 식당 . 약선요리에 관심이 지대한 부부가 운영하기에 식재료 하나도 허투루 사용하는 게 없다 . 지역 정미소의 쌀 , 약초쌈장 , 약된장 , 하수오 달걀찜 등 기본의 장과 소스에 정성을 담았다 . 나의 소울을 달랠 수 있는 보약 쟁반 한 상이다 .(충북 제천시 금성면 국사봉로 26길 18/ 043-648-6788 / 벚꽃정식 1만7000원)

글·사진 이윤화 다이어리알 대표 /‘대한민국을이끄는외식트렌드 ’ 저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ESC] 억지로 자지 말고, 억지로 깨어 있으라! 1.

[ESC] 억지로 자지 말고, 억지로 깨어 있으라!

결혼을 약속한 남친이 있는데 다른 남자와 자고 싶어요 2.

결혼을 약속한 남친이 있는데 다른 남자와 자고 싶어요

강남 사모님도 줄서는 ‘광장시장 양장점’ 셔츠, 안으로 넣어 입나요? 다트는 등,배? 3.

강남 사모님도 줄서는 ‘광장시장 양장점’
셔츠, 안으로 넣어 입나요? 다트는 등,배?

[ESC] 시래기와 우거지의 차이를 아시나요? 4.

[ESC] 시래기와 우거지의 차이를 아시나요?

[ESC] 취미로 수학 문제 푸시는 분~ 손! 5.

[ESC] 취미로 수학 문제 푸시는 분~ 손!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