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럴림픽에서 남북 공동입장은 처음
3월9일 개막하는 2018 평창패럴림픽(장애인올림픽) 개회식에 남북한 선수들이 한반도기를 들고 공동 입장한다.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는 29일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의 본부에서 집행위원회를 열어 북한의 2018 평창패럴림픽 참가 승인을 결의하면서 남북의 개회식 공동입장과 한반도기 사용을 의결했다. 남북 공동입장은 패럴림픽 사상 처음이다. 북한은 선수 2명과 임원 6명으로 구성된 선수단이 참가할 예정이다.
북한은 패럴림픽에 선수단을 파견한 지 오래되지 않았다. 2012년 런던 하계패럴림픽에 처음 참가한 북한은 당시 선수 1명(임주성)이 출전했다. 2014년 소치 동계패럴림픽에 불참한 북한은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하계패럴림픽에선 선수 2명(송금정, 김철웅)을 출전시켰다.
북한은 평창패럴림픽에 대비해 지난해 12월부터 장애인 노르딕스키의 마유철(27)과 김정현(18)이 강도 높은 훈련을 쌓은 것으로 알려졌다. 두 선수는 최근 선수 등록 절차를 마친 뒤 국제패럴림픽위원회 주관대회인 2017~2018 월드 파라노르딕스키 월드컵에도 출전해 평창패럴림픽 참가를 위한 최소한의 조건을 갖췄다. 국제패럴림픽위원회는 2월1일 와일드카드 선수 명단을 발표할 예정인데, 이때 두 선수의 이름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국제패럴림픽 집행위원회는 패럴림픽에서도 도핑 스캔들을 일으킨 러시아에 대해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마찬가지로 개인 자격으로만 평창패럴림픽 참가를 허용하기로 했다. 출전 종목도 알파인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노보드, 휠체어 컬링 등 5개 종목으로 제한했다.
김창금 기자 kim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