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강원도 평창군 슬라이딩센터에서 열린 남자 스켈레톤 3차 경기에서 대한민국 남자 스켈레톤 대표 윤성빈이 얼음을 가르며 질주하고 있다. 연합뉴스
스켈레톤 ‘천재’ 윤성빈(24·강원도청)이 2018 평창겨울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면서 남자 스켈레톤 금메달은 3개 대회 연속 개최국 선수의 차지가 됐다. 하지만 이번만큼은 외신도 홈 어드밴티지를 입에 올리고 있지 않다. 윤성빈의 금메달은 지난 두번과 어떻게 달랐을까?
봅슬레이, 스켈레톤 같은 썰매 종목에는 ‘홈 아이스 어드밴티지’라는 말이 있다. 썰매 종목이 펼쳐지는 슬라이딩 경기장은 경기장마다 모양이 전혀 다르다. 경기장에 익숙한 개최국 선수에게 유리할 수밖에 없다. 지난 10년 가까이 세계를 지배한 ‘스켈레톤 황제’ 마르틴스 두쿠르스(라트비아)를 제치고 2010년 밴쿠버올림픽 금메달은 캐나다 선수인 존 몽고메리에게 돌아갔고, 2014년 소치올림픽은 러시아 선수 알렉산드르 트레티야코프가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그런데 윤성빈의 금메달은 이런 ‘홈 아이스 어드밴티지’만으로 설명할 수 없다. <에이피>(AP) 통신은 “홈 아이스 어드밴티지는 올림픽에서 중요하긴 하지만 윤성빈이 우승한 이유는 그게 아니다. 그는 어디에서나 우승을 해왔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에이피>는 “그는 올 시즌 월드컵 서킷을 가지고 놀았다. (7번 출전해) 5차례 우승했고, 나머지 두번은 준우승을 했다. 평창올림픽을 준비하기 위해 마지막 대회는 불참하고도 시즌 종합 1위에 올랐다”고 덧붙였다.
윤성빈이 올림픽 경기에서 보여준 압도적 퍼포먼스도 이를 입증한다. 4차례 주행 합산 3분20초55를 기록한 윤성빈과 3분22초18을 기록해 은메달을 목에 건 러시아 출신 선수 니키타 트레구보프의 격차는 1.63초다. 올림픽 사상 최대 격차 우승이다. 격차가 0.02초에 불과한 2, 3위를 비롯해 2위부터 마지막 20위까지는 0.01~0.62초 차이로 순위가 결정됐으니, 윤성빈 홀로 나머지 19명과는 차원이 다른 레이스를 펼친 것이다.
이를 거리로 환산하면 윤성빈과 트레구보프의 격차는 무려 57.5m다. 1차 주행에서 윤성빈보다 0.31초 늦게 들어온 트레구보프의 피니시 속도가 시속 127.7㎞였던 점을 고려하면 윤성빈이 피니시 라인을 통과하는 시점에 트레구보프는 11m 뒤에 있었던 것이다. 2차 시기는 14.8m, 마지막 4차 시기에서는 19.2m로 점점 더 격차는 커졌다. 육상 100m를 10초에 주파하는 스프린터라면 1.63초 차이는 16.3m의 격차이고, 한차례 주행할 때마다 약 4m 차이가 난 셈이다.
윤성빈은 스켈레톤 역사에서 가장 충격적으로 등장한 스타로 꼽힐 만하다. 고등학교 3학년 때까지 윤성빈은 엘리트 스포츠라곤 접해본 적 없는 평범한 학생이었으나 스켈레톤에 입문한 지 5년여 만에 두쿠르스에게서 ‘황제’의 타이틀을 빼앗았다. 키 178㎝인 윤성빈이 농구 골대를 두 손으로 잡을 정도로 점프력이 뛰어난 것을 눈여겨본 체육교사의 권유로 다소 늦은 나이에 스켈레톤에 입문해 1년 반 만에 국제대회에서 첫 우승을 거뒀고, 2년 뒤에는 월드컵 대회 첫 우승을 차지했다. 두쿠르스가 월드컵 우승을 차지하기까지는 10년이 걸렸다. 세계 스켈레톤계가 윤성빈을 천재라고 부르는 이유다. 아직 24살에 불과한 윤성빈은 벌써부터 4년 뒤 베이징올림픽의 가장 강력한 금메달 후보로 손꼽히고 있다.
허승 기자
rais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