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10년 넘게 일상에서 알아차림을 연습해서 마음이 많이 변했어요. 좌선 할 수 있는 시간은 많이 없더라도 일상의 시간은 많잖아요. 언제나 어디서나 알아차림을 기를 수 있어요! 몇 가지 꿀팁을 드립니다.
* 가장 중요한 것은 의도입니다. 알아차리겠다는 의도를 갖는 것은 불을 켜는 것과 같고 의도를 갖지않는 것은 어둠속에 남아 있는 것과 같아요. 의도가 알아차림을 경험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불방일(수행을 게을리하지않음)의 힘을 키우기 위해 자꾸 의도를 일깨워야 해요.
* 지견(옳바르고 명료하게 아는 능력)의 확립: 이론과 체험으로 알아차림의 지견을 확립하여 지견과 익숙해지는 것이 수행이에요. 이론과 체험을 자꾸 섞어야 해요.
* 일상의 일과중에 머리를 안 쓸 때 알아차림을 연습하기가 쉬워요. 집안 일, 노동, 산책, 목욕, 식사 (혼자 밥 먹는다면), 등. 농부, 예술가, 음악가 같은 직업 자체를 명상으로 삼기가 좋아요.
* 일관성: 진전의 비결은 꾸준한 노력이예요. 때로는 잘 하고 때로는 안하면 진전이 없어요. 알아차림을 기르지 못 하는 유일한 장애는 의도를 포기하는 겁니다. 경험이 중요한 게 아니라 알아차림이 중요해요. 몸과 마음의 상태를 떠나서 알아차림은 언제나 연습 할 수 있어요.
* 기대를 버려라: 수행의 대표적인 장애는 기대입니다. 알아차림은 바라는 게 아니라 지켜 보는 거예요. 욕심을 버려서 알아차림을 경험하는 만큼 감사하고 만족하면 알아차림이 더 자주 와요. 알아차림이 돌아왔을 때 실망하고 자책하면 알아차림이 도망가요.
늘 알아차림으로 마음을 향하게 하여 기대없이 꾸준히 알아차림을 연습하면 1년 뒤에 마음의 큰 변화가 있어요. 10년 뒤에는 도인이 되죠! 겉으로 보면 일반 사람하고 다르지 않지만 내면의 경험이 완전히 다르죠. 어디 가서 수행하는 게 아니에요. 삶에 깨어나는 것이 수행이에요.
생각을 굴리는 만큼 업을 쌓고 고통을 만들어요. 알아차리는 만큼 업을 소멸하고 행복하게 돼요. 산란함 자체가 고통이고 알아차림 자체가 행복이예요. 근데 이렇게 말해도 실천하는 사람이 거의 없더라고요.
용수스님/세첸코리아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