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인간과동물

‘비봉이’ 방류 1년째 생사 불명…“실패 인정하고 책임 규명하라”

등록 2023-10-16 14:29수정 2023-11-03 09:45

[애니멀피플]
방류 이후 관찰 안 돼…동물단체들, 책임 규명 요구
해양수산부 “연말까지 백서 발간해 과정 공개”
제주 남방큰돌고래 ‘비봉이’는 지난해 10월16일 17년간의 수족관 생활 끝에 야생방사 됐지만 1년이 지난 현재까지 모습이 관찰되지 않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10월16일 방사 당일 비봉이의 모습. 해양수산부 제공
제주 남방큰돌고래 ‘비봉이’는 지난해 10월16일 17년간의 수족관 생활 끝에 야생방사 됐지만 1년이 지난 현재까지 모습이 관찰되지 않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10월16일 방사 당일 비봉이의 모습. 해양수산부 제공

“정부와 비봉이방류협의체는 야생 방류 실패를 인정하고 책임 규명하라.”

제주 남방큰고래 ‘비봉이’의 방류 1년을 맞아 동물단체들이 방류 모든 과정의 공개와 책임 규명을 촉구했다. 16일 동물자유연대,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등 8개 시민단체는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재까지 생사가 확인되지 않고 있는 비봉이의 방류 실패를 인정하고 이에 대한 책임 규명을 요구했다.

수족관에 남아있던 마지막 남방큰돌고래였던 비봉이는 지난해 10월16일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앞바다에서 야생으로 방사됐다. 그러나 방사 직후부터 현재까지 육안, 카메라, 선박 등을 이용한 야생 모니터링에서 모습이 눈에 띄지 않고 있다. 또 야생적응장(가두리)에서 나간 뒤 등지느러미에 부착된 위성추적장치의 신호가 단 한 차례도 수신되지 않았다.

2005년 제주 비양도 앞바다에서 불법 포획돼 수족관에서 17년간 지내던 남방큰돌고래 ‘비봉이’가 지난 4일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앞바다에 설치된 가두리 훈련장으로 옮겨지고 있다. 연합뉴스
2005년 제주 비양도 앞바다에서 불법 포획돼 수족관에서 17년간 지내던 남방큰돌고래 ‘비봉이’가 지난 4일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앞바다에 설치된 가두리 훈련장으로 옮겨지고 있다. 연합뉴스

단체들은 제주 연안 1~2㎞에 정주하며 먹이 활동을 하는 제주 남방큰돌고래의 특성상, 비봉이가 1년간 관찰되지 않은 것은 적응 실패라고 보고 있다. 단체들은 “비봉이는 죽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야생 방류가 실패로 이어졌음에도 비봉이의 실질적 소유자인 호반 퍼시픽리솜과 정부, 방류 관계자들은 이에 대한 원인 분석은커녕 실패조차 인정을 안 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비봉이 야생 방류 과정과 이후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와 방류 실패에 따른 철저한 원인 규명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비봉이의 야생 방사는 당시 방류만이 답이 아니라는 신중론이 나온 바 있다. 자생 능력이 부족한 어린 나이(4~5살)에 포획됐고, 수족관 생활도 17년으로 길었기 때문이다. 또 제돌·춘삼·삼팔(2013년), 태산·복순(2015년) 등 야생 방사 성공 사례와 달리 혼자 야생적응 훈련을 받고 홀로 방사되어야 한다는 점도 걸림돌로 지적됐다. 게다가 야생 방사가 실패했을 때의 대책도 미비했던 것으로 나타나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여론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비봉이방류협의체(호반호텔앤리조트, 제주도, 제주대, 핫핑크돌핀스)는 비봉이 방류 결정 근거, 시점별 논의사항, 동물의 건강 상태 등 방류 사업의 전반적 과정을 비공개해왔다. 정부는 아직까지 비봉이 방류를 실패로 볼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10월16일 방사 당시 비봉이의 모습. 야생적응장 재이동 당시 몸무게는 당초 몸무게보다 20㎏가량 줄어든 상태였다. 해양수산부 제공
10월16일 방사 당시 비봉이의 모습. 야생적응장 재이동 당시 몸무게는 당초 몸무게보다 20㎏가량 줄어든 상태였다. 해양수산부 제공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 신재영 과장은 “비봉이의 사체가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고, 당시 방류협의체에 참가했던 전문가는 비봉이가 먼바다로 이동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제주도에서 관찰되지는 않지만 사망한 것을 확인한 것도 아니라서 당분간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비봉이를 추적하는 모니터링은 지난 6월 종료됐고 현재는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센터가 분기별로 벌이는 정기 모니터링만 진행 중이다.

그러나 동물단체들은 사체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생존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것은 과거 실패 사례를 반복하는 것일 뿐이라 지적한다. 남방큰돌고래 금등·대포는 2017년 제주 바다로 방류됐지만 이후 종적을 감췄다. 당시에도 정부는 방류 실패를 인정하지 않았다. 단체들은 이번에는 방류 실패의 원인과 책임 소재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 남방큰돌고래 비봉이의 방류 1년을 맞아 동물단체들이 16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비봉이 방류 실패 책임 규명을 촉구하고 있다.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제주 남방큰돌고래 비봉이의 방류 1년을 맞아 동물단체들이 16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비봉이 방류 실패 책임 규명을 촉구하고 있다.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단체들은 “17년간 인간의 유희를 위해 이용된 비봉이는 결국 인간의 손에 목숨을 잃었다. 이를 돌이킬 수는 없겠지만, 최소한 과오에 대한 성찰은 뒤따라야 한다. 우리는 아직도 비봉이의 죽음에 대해 아는 것이 없다. 정부는 방류의 전 과정 공개와 규명을 통해 책임을 다하라”고 말했다.

해양수산부는 비봉이 방류과정 전반을 담은 백서를 1·2권 형태로 올해 연말까지 발간할 계획이다. 두 권 중 한 권은 온전히 비봉이 방류에 관한 사업 전반, 방류 결정, 적응 단계 등 각종 진행 과정을 자세히 실을 예정이다. 신재영 과장은 “백서 발간은 현재 자료 수집, 전문가 의견수렴까지 끝나 의견을 평가 정리하는 단계다. 다음 달이면 관련 단체나 연구자들에게 초안을 회람할 수 있을 것 같다. 최종 발간은 연말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했다. 애초 백서는 지난 6월 발간될 예정이었으나 제주 고래류 현황 조사까지 포함하며 발간이 늦어졌다.

더 알고 싶다면

한국은 돌고래 복지 선진국인가? 야생방류 실적주의에 빠졌나?

https://hani.com/u/ODE4Nw

비봉아 어디 있는 거니…25일째 신호 안 잡혀

https://hani.com/u/ODE4OA

[단독] 남방큰돌고래 ‘비봉이’ 야생방사 실패시 ‘회수비용’, 합의 안됐다

https://hani.com/u/ODE4OQ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푸른 뱀의 해 2025년…그런데 뱀이 무섭다고요? 1.

푸른 뱀의 해 2025년…그런데 뱀이 무섭다고요?

원숭이가 뱀 보고 놀라는 이유…‘비늘이 무서워’ 2.

원숭이가 뱀 보고 놀라는 이유…‘비늘이 무서워’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3.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세계서 가장 높이나는 새, ‘줄기러기’가 한국에 오다니 4.

세계서 가장 높이나는 새, ‘줄기러기’가 한국에 오다니

‘9년 솔로’ 수컷 뱀 호날두, 새끼 낳았다는데… 5.

‘9년 솔로’ 수컷 뱀 호날두, 새끼 낳았다는데…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