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발 ‘혁신도시 시즌2’ 오나
대구 등 태스크포스 꾸려 유치 전략 마련
세종, 혁신도시 없는 지방정부 촉각 세워
이두영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것이 우선”
대구 등 태스크포스 꾸려 유치 전략 마련
세종, 혁신도시 없는 지방정부 촉각 세워
이두영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것이 우선”
지방정부들은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2차 공공기관 이전’을 일제히 반겼다. 전국 10곳의 혁신도시들은 추가 이전을 기대했으며, 혁신도시가 없는 세종 등도 공공기관 이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울산시는 5일 ‘공공기관 추가 이전 대응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이전 대상 공공기관 유치 전략 마련에 들어갔다. 태스크포스를 총괄하는 이상찬 울산시 정책기획관은 “1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이 이뤄졌지만, 수도권과 지방 간의 격차는 갈수록 더 벌어져가고 있다. 기존 혁신도시의 활성화를 위해 연관된 공공기관들의 추가 입주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구혁신도시가 자리잡은 대구 동구 의원 일동은 4일 ‘신규 지정 수도권 공공기관 지방이전 촉구 결의문’을 냈다. 이들은 “공공기관이 추가로 지방 혁신도시로 옮겨오면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를 줄일 수 있다. 지역에 양질의 일자리가 생겨 수도권 인구집중을 막을 수 있다. 추가 이전을 위해 청와대와 국회, 중앙부처 등이 정책적 지원을 해달라”고 촉구했다. 대구시는 동구 각산·신서동 혁신도시(421만㎡) 주변을 넓히거나, 달서구 등에 별도의 혁신도시를 만드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전남도는 나주 빛가람혁신도시의 안정적 발전과 정주 여건 조성에 청신호가 켜졌다고 반겼다. 전남도는 “공공기관이 추가로 이전할 공간도 확보돼 있다. 현재 중소기업 입주 터 8만2500㎡가 개발됐고, 필요하다면 혁신 산단 165만㎡를 이른 시일 안에 개발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경남, 강원, 부산, 전북, 충북 등도 이전 대상 기관이 지역에 형성된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것을 전제로 크게 반겼다. 하지만 이전 대상 기관, 입지 등이 확정되지 않은 터라 신중한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이삼희 경남도 서부권개발국장은 “항공·조선·기계·스마트공장 등 경남도가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산업과 연관된 기관이 오면 좋겠다. 국토교통부 등 정부의 구체적 계획을 살펴보고, 경남도 방침을 정하겠다”고 말했다. 이창우 강원도 투자유치과장은 “공공기관 추가 이전은 당연히 환영이다. 하지만 아직 기존 혁신도시를 확장할지, 다른 지역을 추가 선정할지 결정된 게 없다”고 밝혔다.
세종시 건설에 따라 혁신도시가 형성되지 않은 대전, 충남, 세종 등도 공공기관 추가 이전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세종시 관계자는 “세종시는 정부 부처·기관 등이 이전한데다 정주 여건도 빼어나 공공기관이 이전하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6생활권 100만㎡에 공공기관 입주를 염두에 둔 복합업무지역을 조성할 계획이 있다. 균형발전 차원에서라도 공공기관 이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두영 지방분권전국연대 공동대표는 “추가 이전 기관은 기존 혁신도시로 이전해 혁신도시의 활성화를 유도해야 한다. 또 기존 입주 기관들의 특성을 고려해 선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강현수 국토연구원장은 “세종시나 혁신도시가 신도시로 건설돼 주변 도시를 약화시켰다. 기존 도시의 낙후한 원도심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구대선 신동명 안관옥 박임근 최상원 박수혁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