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제주

제주서 ‘사리 보관’ 금동소탑 출토…고려 때 절터 확인

등록 2023-01-26 14:34수정 2023-01-26 14:39

제주시 오등동 고려시대 절터에서 출토된 금동다층소탑. 대한문화재연구원 제공
제주시 오등동 고려시대 절터에서 출토된 금동다층소탑. 대한문화재연구원 제공

제주의 고려시대 절터에서 금동다층소탑과 중국 북송시대의 동전 등 다수의 유물이 발굴됐다.

대한문화재연구원은 26일 제주시 오등동 250-8 일대 유적 발굴조사를 통해 고려시대 제주에 있었던 ‘오등동 절터’의 실체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문화재청 허가를 받아 소규모 국비지원 발굴조사 사업의 하나로 오등동 절터에 대한 발굴조사를 진행했다.

‘오등동 절터’는 제주시 오등동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 터로 문헌 기록에는 없지만, 예부터 ‘절왓’(절밭), ‘불탄터’ 등으로 불려왔다.

연구원 쪽은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오등동 절터의 가치와 창건 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우선 사찰 건물지 가운데 가장 먼저 지어진 3호 건물지 내에서는 중국 북송시대(960~1127년)에 제조된 동전 꾸러미(20매 내외)가 일괄 출토됐다. 동전은 함평원보(998~1003년), 황송통보(1039~1054년), 치평원보(1064~1067년) 등 3종류다. 연구원은 이를 토대로 절터의 창건 시기를 11세기 전·중엽으로 추정했다.

제주시 오등동 고려시대 절터 유적 전경 모습. 대한문화제연구원 제공
제주시 오등동 고려시대 절터 유적 전경 모습. 대한문화제연구원 제공

이와 함께 사리를 보관한 것으로 보이는 금동다층소탑도 발굴됐다. 연구원은 발굴된 금동다층소탑은 성인 주먹만한 크기로 지붕 위 용머리와 잡상, 와골, 난간, 창, 창틀구조가 잘 남아있어 고려시대 목탑이나 건물을 복원하는 데 중요한 유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또 두 차례의 중창 과정이 확인됐고, 중국 원대(1271~1368년) 제작된 청자와 전남 강진 사당요지에서 생산된 청자 등도 출토됐다.

연구원은 “출토지가 확인된 금동소탑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 정확한 제작 시기와 용도 등은 보존처리 뒤 밝혀야 할 과제이다”며 “이번 발굴을 통해 고려시대 제주 사찰의 가람 배치와 구조를 이해할 수 있는 단서가 확보됐다”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포항이 흔들렸다” 포스코제철소서 큰 불…5시간 만에 진화 1.

“포항이 흔들렸다” 포스코제철소서 큰 불…5시간 만에 진화

금성호, 고등어 너무 많이 잡았나…해경 “평소보다 3∼5배 추정” 2.

금성호, 고등어 너무 많이 잡았나…해경 “평소보다 3∼5배 추정”

검찰, 명태균 조사 일단락…선거법 시효 놓치고 ‘반쪽 수사’ 3.

검찰, 명태균 조사 일단락…선거법 시효 놓치고 ‘반쪽 수사’

금성호 침몰 40여시간만에…한국인 실종자 주검 1구 발견 4.

금성호 침몰 40여시간만에…한국인 실종자 주검 1구 발견

[영상] “지하철역 식사, 세 가정 근무”…필리핀 가사관리사 호소 5.

[영상] “지하철역 식사, 세 가정 근무”…필리핀 가사관리사 호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