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음악영화 ‘비긴 어게인’ 200만 돌파의 원동력은?

등록 2014-09-18 19:55수정 2015-05-27 09:17

영화 ‘비긴 어게인’
영화 ‘비긴 어게인’
시네 플러스+
존 카니 감독의 음악 영화 <비긴 어게인>이 지난 17일 200만 관객을 돌파했습니다. 감독의 전작 <원스>가 2006년 당시 국내에서 독립영화 사상 처음으로 20만 관객 돌파 기록을 세웠는데, 후속작이 벌써 10배의 관객을 모은 겁니다. 개인적으로 어느 정도 흥행 예감을 했지만, 이 정도일 줄은 예상 못 했습니다. 영화를 수입한 판시네마 쪽도 잘되면 50만 관객 정도로 내다봤다고 하더군요.

왜 이렇게 많은 관객이 든 걸까요? 우선 <원스>의 덕이 있겠죠. 많은 이들이 영화와 음악의 감동을 아직도 잊지 못하고 있으니까요. 캐스팅의 힘도 상당합니다. 주연을 맡은 <캐리비안의 해적>의 키라 나이틀리와 <어벤져스>의 마크 러펄로는 할리우드 유명 배우죠. 게다가 인기 밴드 머룬5의 보컬리스트 애덤 러빈까지 출연해 연기와 노래를 하니 어찌 관심이 안 가겠어요? 미국 뉴욕을 배경으로 한 감각적인 영상과 매끈하고 세련된 음악도 꽤나 매력적입니다.

그래도 이것만으론 설명이 부족합니다. 분명 또 다른 요인도 있을 겁니다. 영화 수입사는 입소문 효과를 들더군요. <비긴 어게인>을 본 사람들은 유독 에스엔에스(SNS), 블로그 등에 감상을 많이 올렸다고 합니다. 저 또한 페이스북에서 “<비긴 어게인>을 보고 큰 감동과 위안을 얻었다”는 식의 글을 많이 봤으니까요. 남다른 취향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기 마련인 에스엔에스의 특성상 <명량>보다 <비긴 어게인>에 대해 하고픈 얘기가 훨씬 더 많았을 겁니다. 앞서 77만 관객을 모은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도 비슷한 흐름이었다고 볼 수 있죠.

최근의 이런 현상을 두고 예술·독립영화를 아우르는 다양성 영화의 대약진으로 해석하는 시각이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비긴 어게인>만 해도 유명 배우들이 출연한 할리우드 영화이니까요. 다만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와 거대 제작·배급사 한국 영화들의 대대적인 물량 마케팅 공세 속에서 작은 영화들도 관객들 입소문에 힘입어 이렇게나 많은 관객을 모을 수 있다는 건 고무적인 일입니다.

서정민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구준엽 아내 서희원 숨져…향년 48 1.

구준엽 아내 서희원 숨져…향년 48

“우리 노동자의 긍지와 눈물을 모아”…‘저 평등의 땅에’ 작곡 류형수씨 별세 2.

“우리 노동자의 긍지와 눈물을 모아”…‘저 평등의 땅에’ 작곡 류형수씨 별세

웹툰 플랫폼 ‘피너툰’ 서비스 일방 종료…작가들 “피해 보상” 3.

웹툰 플랫폼 ‘피너툰’ 서비스 일방 종료…작가들 “피해 보상”

조성진 ‘가장 바쁜 피아니스트’ 5위…서울은 가장 뜨거운 음악도시 4.

조성진 ‘가장 바쁜 피아니스트’ 5위…서울은 가장 뜨거운 음악도시

2025년 ‘젊은작가상’ 대상에 백온유…수상자 7명 전원 여성 5.

2025년 ‘젊은작가상’ 대상에 백온유…수상자 7명 전원 여성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