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개훔방’ 논란 2라운드 씁쓸하네

등록 2015-03-03 19:33수정 2015-05-27 09:09

영화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
영화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
시네 플러스+
‘스크린 독과점 논란’에 불을 지폈던 영화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개훔방) 논쟁이 2라운드에 접어들었습니다.

이번엔 역으로 <개훔방>이 예술영화전용관의 프라임 시간대를 독점했다는 비판이 나오는데요. 지난 2일 영화 <조류인간>의 신연식 감독은 보도자료를 내 “<조류인간> 개봉 첫 날 몇몇 극장에서 아침 10시와 밤 10시40분대라는, 현실적으로 관람이 힘든 시간대에 상영중이었다”며 “반면 상업영화 재개봉작 <개훔방>은 좋은 시간대에 편성된 것을 보고 좌절감을 느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12월31일 개봉한 <개훔방>은 대형 영화에 밀려 고전했습니다만, 스크린 독과점에 대한 비판 여론과 관객들의 응원에 힘입어 2월 중순 재개봉에 돌입했습니다. 문제는 개훔방이 확보한 대부분의 스크린이 예술영화전용관에 집중됐다는 데 있습니다. 독립영화는 5개도 확보하기 힘든 씨지브이 아트하우스 상영관을 15개나 점령했다는군요. 신 감독은 이를 두고 “고등학생이 대학생에게 폭행을 당했다고 억울해 하면서, 유치원 놀이터에 와서 폭력을 행사하는 행위”라고 맹비난 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신 감독은 바로 영화 <개훔방>의 각본을 쓴 당사자입니다.

영화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이 상영 중인 영화관의 모습. 류우종
영화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이 상영 중인 영화관의 모습. 류우종
흔히 예술영화전용관은 영화계에서 독립영화 생태계 유지를 위한 최후의 보루로 여겨집니다. 규모면에서 상업영화와 대적할 수 없는 독립영화가 관객을 만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인 셈이죠. 이런 전용관마저 25억짜리 상업영화 <개훔방>을 집중 상영하니, 독립영화 감독들로선 속이 끓을 수밖에요. 피해자라며 문제제기를 하던 <개훔방>이 가해자로 돌변한 상황에 배신감을 느낄 법도 합니다. 한편에선 늘 스크린 독과점 논란의 핵심인 씨지브이가 일반 상영관 대신 예술영화전용관인 아트하우스를 선심쓰듯 내주는 것으로 면피를 하려 했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하지만 결국 이 문제는 한국 영화계의 구조적 문제와 연결됩니다. 대형 상업영화의 스크린 독점이 지금보다 덜하다면, 예술영화전용관 수가 지금보다 훨씬 더 많다면, 지금처럼 약자들끼리 ‘한정된 파이’를 두고 다투는 일은 없겠죠. 강자와 약자의 싸움처럼 보였던 <개훔방> 논란이 약자와 더 약자의 싸움으로 변질된 현실이 씁쓸하기만 하네요.

유선희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구준엽 아내 서희원 숨져…향년 48 1.

구준엽 아내 서희원 숨져…향년 48

“우리 노동자의 긍지와 눈물을 모아”…‘저 평등의 땅에’ 작곡 류형수씨 별세 2.

“우리 노동자의 긍지와 눈물을 모아”…‘저 평등의 땅에’ 작곡 류형수씨 별세

조성진 ‘가장 바쁜 피아니스트’ 5위…서울은 가장 뜨거운 음악도시 3.

조성진 ‘가장 바쁜 피아니스트’ 5위…서울은 가장 뜨거운 음악도시

웹툰 플랫폼 ‘피너툰’ 서비스 일방 종료…작가들 “피해 보상” 4.

웹툰 플랫폼 ‘피너툰’ 서비스 일방 종료…작가들 “피해 보상”

2025년 ‘젊은작가상’ 대상에 백온유…수상자 7명 전원 여성 5.

2025년 ‘젊은작가상’ 대상에 백온유…수상자 7명 전원 여성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