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영화에서 웬 텐트폴?

등록 2015-05-19 19:02수정 2015-05-20 14:12

시네 플러스+
“올해 씨제이이엔엠의 텐트폴은 여름 <베테랑>, 겨울 <히말라야>죠.”

이번주 ‘할리우드 클래식 시리즈에 대항하는 한국 영화의 전략’을 취재하다보니 모든 투자배급사에서 ‘텐트폴’이라는 말을 쓰더군요. 최근 몇 년 사이 등장한 영화 용어 가운데 하나인데요. 캠핑 가는 것도 아니고, 왜 영화계에서 텐트폴이 나올까요?

‘텐트폴’은 텐트를 칠 때 세우는 지지대처럼, 한 투자배급사의 라인업에서 가장 흥행 가능성이 높은 영화를 뜻합니다. 보통은 순제작비부터 다른 영화를 압도할 만큼 높고, 유명 감독이나 배우가 포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투자 배급사의 입장에서는 다른 영화의 성적이 좀 부진해도 텐트폴 영화의 흥행 성적이 좋으면 1년 손실을 한 방에 만회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부터 마케팅까지 세밀한 전략을 짜게 됩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지난해 씨제이이엔엠의 텐트폴은 여름 <명량>, 겨울 <국제시장>이었습니다. 두 영화는 지난해 각각 1760만명과 1420만명을 동원해 2014 박스오피스 뿐 아니라 역대 박스오피스 1·2위를 갈아치우는 기염을 토했죠. 씨제이이엔엠은 이 두 편의 영화만으로 흥행에 참패한 제작비 100억원대 영화 <우는 남자>(60만명) 등의 손실을 만회하고, 큰 수익을 남겼습니다. 롯데엔터테인먼트의 <해적: 바다로 간 산적>(866만명), 쇼박스의 <군도: 민란의 시대>(477만명) 역시 지난해 여름 텐트폴 영화였습니다. 성적으로 보면 3사 가운데 쇼박스만이 절반의 성공이 그친 셈이죠.

텐트폴 영화는 대부분 관람 연령이 낮아 온 가족이 볼 수 있는 영화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체로 방학이 낀 여름과 겨울 시즌을 겨냥해 개봉합니다.

아, 텐트폴과 정 반대로 기대하지 않은 영화가 의외의 성공을 거두는 경우도 있습니다. 영화계에선 ‘슬리퍼 히트’라고 부릅니다. 입소문을 타면서 개봉관이 크게 늘고 결국 메가 히트작이 되기도 하는데요. 지난해 480만명을 동원한 독립영화 <님아, 그 강을 건너지마오>가 대표적 사례죠.

올해도 각 투자배급사의 텐트폴 영화가 이름 값을 하는지, 깜짝 흥행에 성공하는 슬리퍼 히트 영화는 없는지 살펴보세요. 영화를 보는 재미를 더해 줄 것입니다.

유선희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구준엽 아내 서희원 숨져…향년 48 1.

구준엽 아내 서희원 숨져…향년 48

웹툰 플랫폼 ‘피너툰’ 서비스 일방 종료…작가들 “피해 보상” 2.

웹툰 플랫폼 ‘피너툰’ 서비스 일방 종료…작가들 “피해 보상”

“우리 노동자의 긍지와 눈물을 모아”…‘저 평등의 땅에’ 작곡 류형수씨 별세 3.

“우리 노동자의 긍지와 눈물을 모아”…‘저 평등의 땅에’ 작곡 류형수씨 별세

조성진 ‘가장 바쁜 피아니스트’ 5위…서울은 가장 뜨거운 음악도시 4.

조성진 ‘가장 바쁜 피아니스트’ 5위…서울은 가장 뜨거운 음악도시

일본서 경매될 뻔한 경복궁 선원전 편액, 108년 만에 귀환 5.

일본서 경매될 뻔한 경복궁 선원전 편액, 108년 만에 귀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