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로 혼잡하고 밀집도가 높은 공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 가운데, 정부가 매일 50만명 이상이 이용하는 광역버스의 혼잡을 줄이기 위해 대책 이행 상황을 점검했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7일 오후 서울 철도사법경착대 회의실에서 관련 지방자치단체, 운송업계와 함께 광역버스 안전관리체계 점검회의를 열었다. 국토부는 “이번 점검회의에서는 이날 오전 윤석열 대통령 주재 국가안전시스템 점검회의에서 논의된 광역버스 혼잡 해소를 위한 인파 관리 방안 등 회의 결과를 공유했다”며 “수도권 지자체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입석 대책 추진 상황에 대한 점검도 함께 이뤄졌다”고 밝혔다.
정부는 광역버스 입석을 줄이기 위해 출퇴근 시간대(오전 6∼9시, 오후 5∼10시) 전세버스를 투입하고, 정규버스를 증차하는 등 광역버스 운행 확대를 추진 중이다. 연말까지 투입하려는 전세버스 135대 중 46대(34%)가 지난 10월 말까지 투입 완료됐고, 정규버스 증차 목표 152대 중 56대(37%)도 증차가 완료됐다.
그 결과 입석 승객은 감소 추세라고 정부는 밝혔다. 6월에는 일일 출퇴근 시간대 평균 승객 수가 19만8천명이고 입석 승객이 7194명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대책 시행 이후인 10월에는 일일 출퇴근 시간대 평균 승객 수는 21만5천명으로 9% 늘었는데, 입석 승객은 4802명으로 33% 줄었다.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는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수준에는 아직 못 미친다”며 “애초 계획대로 연말까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전세버스 수급과 운전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지자체와 운송업계가 정부에 지원을 요청한 만큼, 기획재정부와 지원 확대 방안도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