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다”의 감옥

등록 2023-03-30 18:17수정 2023-03-31 02:35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크리틱] 정영목 | 번역가·이화여대 통역번역대학원 교수

“다”는 내가 가장 많이 쓰는 글자는 아니라도, 입으로 말한 횟수 대비 글로 적은 횟수의 비율은 아마 가장 높을 듯하다. 방금도 “다”라고 쓰고 마침표를 찍었고 또 지금 그걸 반복하고 있“다.” 우리 글의 종결어미이니 어쩔 수 없겠지만 오래 쓰다 보니 전에 없던 쇠창살이 어렴풋이 보이는 듯도 하다. 아, 이곳은 그동안 쓴 “다”가 쌓여 만들어진 감옥인가?

아닌 게 아니라 가라타니 고진은 <일본 근대문학의 기원>(박유하 역)에서 이런 종결어미(그쪽도 “~다”이다)를 사용하는 방식을 “우리를 가두고 있는 것”이자, “확립되자마자 그 기원이 망각되는 장치”라고 부른다. 그러니까 이 “~다”체가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게, 어쩔 수 없는 게 아니란 뜻인가? 그렇다. 우리에겐 오랜 세월 한문이 있지 않았나. 권보드래는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에서 “~다”체는 1910년대 말 소설에서 자리를 잡고 십여년 후 일반적 문체가 되었다고 말한다.

권보드래가 전하는 당시 김동인 이야기에 따르면 그가 “~다”체를 쓴 것은 ‘구어체’를 쓰려는 시도였다고 하는데, 사실 “~다”가 우리말에서는 자주 쓰이지 않았다고 하니 문어를 구어에 일치시킨다는 관점에서 보면 뭔가 어긋난다. 오히려 김동인이 초기에 모든 작품을 일본어로 구상한 뒤 우리말로 쓰려다 막힌 부분에서 일본어 언문일치의 핵심인 “~다”의 도입 경로를 상상하는 게 더 그럴듯해 보인다. 김동인이 시도한 “~다”는 처음에는 아마 일본어 ‘번역투’의 느낌이 났을 듯하다. 가라타니의 말에 따르면 일본어의 경우 “~다”의 기원이 19세기 말 후타바테이 시메이의 투르게네프 번역이라니, 양쪽 모두에서 “~다”체의 출발은 생경한(또는 참신한) 번역투였던 셈이다.

자연스러운 입말과 어긋난다는 번역투가 언문일치의 말투가 될 수 있었던 것은, 권보드래의 말에 따르면, 언문일치의 핵심이 무엇보다 “문장 언어의 공통된 규범”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떤 구어도 닮지 않은 인공의 언어”인 “~다”도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물론 장점이 있었다. “~다”는 자주 쓰이지 않았기 때문에 오히려 쉽게 하대하는 말투 느낌을 털어내고 “무색투명한 문체”, “자기 자신을 향한 독백을 만인 앞에서 읊조”리는 언문일치의 문체가 될 수 있었다. 가라타니라면 “~다”체가 근대인의 내면을 표현하여 새로운 언=문을 확립하고 기원을 지웠다고 말할지도 모르겠다.

실제로 “~다”체가 자리를 잡으면서 과거 종결어미만으로 주어가 짐작되었던 때와는 달리 주어를 밝힐 필요가 자주 생겨, 나/그/그녀 등 대명사에 무게가 실리고 또 “~ㅆ다”라는 과거형이 도입되면서(이 또한 “인공의 언어”라니!) 시간을 현실적으로 다루는 방식이 자리 잡게 되는 과정은 우리말이나 일본어나 비슷하다(당연한가?). 즉 투르게네프식 리얼리즘 소설에서처럼 ‘삼인칭 객관묘사’를 할 수 있는, 그림에 빗대 말하자면 관찰자의 시점에서 원근법으로 대상을 실물처럼 표현할 수 있는 언어가 생겨난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인공의 언어라지만 우리에게는 “~다”와 입말의 간격이 너무 큰 느낌이다. 그래서 이희재는 <번역의 탄생>에서 이런 “거북함”을 언급하며 “다른 방식의 언문일치체를 모색”하는 과제를 말한다. 이 문제 말고도 ‘삼인칭 객관묘사’에 적합한 “~다” 중심 문체가 현재 얼마나 유효한가 하는 큰 문제가 있다. 실제로 “~다”가 감옥이라고 느끼는 번역자는 후타바테이의 고민을 반복할 수밖에 없다. 다만 후타바테이가 사실주의 원근법 그림 앞에서 고민했다면 지금은 예컨대 입체파 그림 앞에서 고민할 뿐이다. 또 자신의 언이 문과 사이가 틀어졌다고 판단하는 예민한 작가들도 이미 새로운 언문일치를 일상적으로 시도하고 있을 것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서부지법 폭동 군중의 증오는 만들어진 것이다 [박현 칼럼] 1.

서부지법 폭동 군중의 증오는 만들어진 것이다 [박현 칼럼]

[사설] 김용현 궤변 속 계엄 찬성했다는 국무위원 밝혀내야 2.

[사설] 김용현 궤변 속 계엄 찬성했다는 국무위원 밝혀내야

윤석열은 왜 이리 구차한가 3.

윤석열은 왜 이리 구차한가

문제는 윤석열이 아니다 [김누리 칼럼] 4.

문제는 윤석열이 아니다 [김누리 칼럼]

분노한 2030 남성에게 필요한 것 [슬기로운 기자생활] 5.

분노한 2030 남성에게 필요한 것 [슬기로운 기자생활]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