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편집국에서] 치료가 병이 아니라 사람에 관한 일이라면 / 김은형

등록 2019-08-18 17:44수정 2019-08-19 13:02

김은형
문화에디터

몇년 전 폐질환을 앓던 아버지가 갑자기 쓰러져 중환자실에 계시다 돌아가시기 직전 병원에서는 기도 삽관을 이야기했다. 의사는 삽관을 하면 막혀가는 숨을 더 쉴 수 있다, 그러나 이걸로 소생하시기는 힘들어 보이고 환자가 매우 고통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선생님 아버지라면 어떻게 하시겠어요?” 그 부담감과 책임감 때문에 의사들이 받기 괴로워하는 질문을 우리 형제들도 던졌다. 의사는 이런 상황이라면 자신은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 말을 듣고도 우리 형제는 서로 다른 의견으로 언쟁을 벌였고, 결국 삽관은 하지 않았지만 그 이후로 나는 지인들의 가족상에 갈 때마다 습관처럼 돌아가시기 전 기도 삽관을 했느냐고 물었다. 했다는 답을 들으면 이상하게 죄책감이 올라왔다.

암이 흔해졌다고 하지만 암 같은 큰 병을 선고받거나 고통스러운 투병을 지켜보는 건 결코 익숙해질 수 없는 일이다. 병이 위중해질수록 의사의 한마디에 더 매달리게 되지만 바쁜 의사에게 고마울 때보다 서운할 때가 더 많다. 그리고 죽음에 이르기까지 보호자로서 내려야 하는 수많은 판단의 순간에 허둥대다가, 환자가 고인이 되고 나면 늘 그게 최선이었을까, 그때 다른 선택을 했더라면 후회가 사무친다.

최근 읽은 <잃었지만 잊지 않은 것들>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가족이나 자신의 병, 그리고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다룬 책 가운데 가장 와닿는 책이었다. 작가는 암 전문의이면서 어린 시절 젊은 아버지를 암으로 잃은 경험이 있는 환자 가족이었다. 특이하게도 이 책은 ‘책에 관한 책’의 형식을 띠고 있다. 저자가 중학교 때 말기 암 선고를 받은 아버지가 1년여간 투병하면서 엄마와 함께 쓴 병상일기가 아버지 사후 책(<아직도 그대는 내 사랑>, 1992)으로 나왔는데 어머니는 책이 나온 뒤 간병인으로 겪는 감정들을 솔직하게 써놓은 게 후회되어 집의 책들을 다 갖다 버렸다고 한다. 저자는 나중에 의사가 되어 절판된 그 책을 구해 읽으면서 이 책을 쓰게 되었다. 이 책은 환자로서 아버지가 느꼈던 의사에 대한 서운한 감정과 간병인으로 지친 엄마의 심정 등을 곳곳에 인용한다. 그리고 당시 죽음을 앞둔 아빠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보다 연합고사를 잘 봐 아빠를 기쁘게 해드리는 게 최선이라고 생각했던 열여섯 소녀가 사십대의 의료인이 돼서 절박한 환자를 앞에 둔 의사의 입장에서 당시를 복기하고, 환자와 가족의 고통이라는 측면에서 당시와 크게 달라진 것 없는 요즘의 상황을 교차한다.

저자가 소개하는 에피소드 중에 인상적인 대목 하나. 손쓸 수 없을 정도로 암이 진행된 50대 남자의 부인이 병원으로 찾아왔다고 한다. 이미 다른 병원에서 갖가지 치료법을 시도한 환자라 난색을 표했음에도 환자가 이 병원에 너무나 오고 싶어 한다는 보호자의 반복된 요청에 입원을 지시할 수밖에 없었지만 화가 치밀어 올랐다. 더 이상 치료가 불가능한데 왜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의 침상을 빼앗는가, 회생 가능한 환자를 다루기에도 부족한 의료진의 노동력을 왜 낭비해야 하는가, 국민들의 혈세인 건강보험공단의 돈을 왜 낭비하는가 등등 온갖 생각이 그의 머리를 헤집었지만 막상 침상에 누운 환자의 눈을 보는 순간 그 눈 속에 담긴 간절함, 안도감 등을 보면서 그의 마음은 바뀌었다. 물론 이것이 공정한가에 대한 질문은 여전히 남지만 의학의 가치를 ‘병’이 아니라 사람 그 자체, 아픈 환자와 가족의 안녕과 행복에 둔다면 환자의 두려움을 이해하는 것 역시 의사의 일이며, 환자와 가족의 고통과 불안을 경감하는 것까지 의료 체계가 고민하고 노력해야 할 일이라고 말한다.

온갖 기구를 온몸에 꽂고 마지막 순간까지 기적을 바라다 쓸쓸하게 생을 마감하는 방식에 대한 회의감이 사회 전반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연명치료 거부 등록도 늘고 있다. 하지만 이게 전부가 아니라는 걸 오랜 기간 중환자를 지켜봐야 했던 가족들은 알고 있다. 단지 죽기 직전의 고통 경감뿐 아니라 아프기 시작할 때부터(완치와 불치를 떠나) 덜 고통스럽게 병과 싸우고 더 평온한 삶을 누릴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좀 더 적극적으로 논의를 할 때다.

dmsgu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그 폭동은 우발이 아니다…법원으로 간 ‘백골단’ 1.

그 폭동은 우발이 아니다…법원으로 간 ‘백골단’

혹시나, 계엄 성공했어도 내란죄 수사할 검사가 있었을까 2.

혹시나, 계엄 성공했어도 내란죄 수사할 검사가 있었을까

난동인데…옹호해야 하는 국민의힘, 궤변 퍼레이드 [1월21일 뉴스뷰리핑] 3.

난동인데…옹호해야 하는 국민의힘, 궤변 퍼레이드 [1월21일 뉴스뷰리핑]

대추리의 싸움…평택 미군기지 확장 이전에 맞서다 4.

대추리의 싸움…평택 미군기지 확장 이전에 맞서다

[유레카] 우즈의 TGL 골프와 미래 스포츠 5.

[유레카] 우즈의 TGL 골프와 미래 스포츠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