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거리의 칼럼] 긴급재난지원금 / 김훈

등록 2020-06-14 21:18수정 2020-06-15 02:30

김영훈 kbyh33@naver.com
김영훈 kbyh33@naver.com

며칠 전에 식당에서 혼밥을 먹는데 숟가락질을 두번 해도 밥이 입으로 들어가지 않았다. 늙으면 입이 벌어지지 않아서 밥을 못 먹게 된다는데, 그때가 왔구나 싶어서 입가를 만져보았더니 마스크를 쓰고 있었다. 마스크를 벗고 먹으려 했으나, 심란해서 넘기기가 어려웠다. 집에 와서 얘기했더니, 아내는 웃으면서 슬퍼했다.

밥을 먹는다는 동작은 문명과 야만의 기저에, 인간의 영혼과 유전자에 깊이 각인되어 있다. 우아한 식당에서 냅킨으로 입가를 닦으면서 먹어도 다 마찬가지다.

내가 어렸을 때는 전쟁고아들이 거리를 헤매고 다녔다. 끼니때마다 깡통을 찬 거지 아이들이 문 앞에 와서 “밥 좀 줘”라고 외쳤다. 나의 집은 밥이 남지 않아서 거지에게 줄 수가 없었다. 나는 내 또래 거지 아이들의 구슬픈 외침 소리를 들으면서 내 밥을 먹었다. 그 어린 날의 당혹감과 슬픔은 지금도 내 마음에 남아 있다. 내가 자라서 김수영 시인의 산문에서 “길가에서 매일같이 만나는 신문 파는 불쌍한 아이들을 볼 때마다 (…) 왜 저 애들은 내 자식만큼도 행복하지 못한가 하는 막다른 수치심에서 헤어날 길이 없다. 나는 40여년 동안을 문자 그대로 피해 살기만 한 것이다”라는 문장을 읽을 때, 나는 그 시인의 무서운 고뇌에 깊이 공감할 수 있었다. 내가 숟가락질에 실패한 식당 문짝에는 ‘긴재 사용 가능’이라는 팻말이 걸려 있었다. 긴재(긴급재난지원금)가 풀리니까 식당에서 밥 먹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식당 주인은 밥을 팔아서 밥을 먹는다. 사람들의 밥이 꼬리를 물고 이어져 있음을 알게 되는데, 어렸을 때 일이 생각나서 슬프다. 늙어서 슬프면, 진짜로 슬프다.

작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내란을 일으키려다 사형당하다 1.

내란을 일으키려다 사형당하다

북한군 포로의 얼굴 [코즈모폴리턴] 2.

북한군 포로의 얼굴 [코즈모폴리턴]

[사설] 반도체보조금 약속 뒤집으려는 미국, ‘불량 국가’인가 3.

[사설] 반도체보조금 약속 뒤집으려는 미국, ‘불량 국가’인가

[사설] 딥시크 충격, 한국도 빠른 추격으로 기회 살려야 4.

[사설] 딥시크 충격, 한국도 빠른 추격으로 기회 살려야

나라야 어찌 되든, 윤석열의 헌재 ‘지연 전략’ [뉴스뷰리핑] 5.

나라야 어찌 되든, 윤석열의 헌재 ‘지연 전략’ [뉴스뷰리핑]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