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3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한-러 정상 업무오찬이 끝난 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으로부터 고 박정희 전 대통령이 쓴 “총화전진” 신년 휘호를 선물받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1979년 박정희 대통령이 타계하기 전에 쓴 마지막 휘호다. 미술품 시장에서 원본을 특별히 구했다”고 말했다고 청와대가 전했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 배치에 반발해온 러시아·중국과의 연쇄 정상회담을 통해 사드 ‘설득외교’를 본격화했다. 첫번째 시험대인 한-러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북핵 반대’ 원칙을 재확인한 반면, 사드 배치에 대한 언급은 거의 하지 않아 갈등 노출을 최소화하는 모습이었다.
박 대통령은 3일(이하 현지 시각)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연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추가 핵실험 위협과 함께 핵 선제공격까지 공언하고 있는 상황에서 날로 고도화되고 있는 북한의 핵과 에스엘비엠(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위협은 불과 수 분의 사정거리 내에 있는 우리에게는 삶과 죽음의 문제”라며 “이러한 상황에서 책임있는 정부라면 국가 안위와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처를 강구해 나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위적 방어조처로서 사드 배치의 불가피성을 우회적으로 언급한 것이다. 푸틴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우리 두 나라는 평양(북한)의 자칭 핵 보유 지위를 용인할 수 없다”며 북핵 불용 원칙을 강조했지만, 사드 배치와 관련한 발언은 하지 않았다.
러시아 정부는 지난 7월 사드 배치 발표 이후 ‘미사일 부대 극동지역 배치’를 거론하는 등 반발해왔지만, 이번 정상회담에선 한-러 경협에 초점을 맞추는 경제-안보 분리 전략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선두에서 사드 반대를 공론화하는 만큼, 러시아 입장에선 사드 관련 이견을 드러내기보다 경협 활성화라는 실리를 얻는 쪽을 선택한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양국 정상은 북핵 문제 접근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의견 차를 재확인했다. 푸틴 대통령은 한-러 정상회담에 앞서 열린 동방경제포럼에서 “우리는 대량살상무기 확산에 결사적으로 반대한다. 북한이 국제사회와 유엔이 채택한 결의안을 준수하기를 촉구한다”면서도 “다만 국가안보 수호와 관련해 특정한 행동으로 북한 정부를 자극하지 않기 위해 매우 정확히 문제 해결에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러시아 언론 <스푸트니크>가 보도했다. 또 “현재 놓인 상황을 협상의 길로 전환해야 할 필요가 있다. 긴장감을 도발하는 모든 행동들은 문제 해결에 역효과를 보게 될 것”이라며 한국 정부의 대북 강경책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사드 외교’의 분수령은 5일 오전으로 예정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이다. 사드 문제를 보는 한·중의 관점이 근본적으로 다른 만큼, 이번 회담에서 양국 정상이 실질적 의견 접근을 이루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박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북핵 문제가 해결되면 사드 배치는 필요 없어진다’는 이른바 ‘조건부 사드 배치론’을 제시하며 북핵 공조 필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항저우/최혜정 기자
id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