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오바마와 20분간 통화
“안보리 제재 신속 결의 긴밀 협력”
한민구-카터, 윤병세-케리도
“안보리 제재 신속 결의 긴밀 협력”
한민구-카터, 윤병세-케리도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해 한국과 미국 정부는 7일 강력한 대응의지를 천명하며 양국간 공조방안을 논의했다. 최대 동맹국인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북한을 압박하는 한편, 중국과 일본 등 주변국과의 공조를 이끌어내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박근혜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오전 9시55분부터 20분간 이어진 전화통화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강력한 결의가 신속히 채택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의 핵실험이 역내 안정을 저해하고 여러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른 의무와 6자회담 틀 속에서의 의무를 위반하는 것으로서, 미국은 동맹국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모든 필요한 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에 “한국에 대한 확고한 안보공약을 재확인하고 북한의 핵실험 관련 단호한 대응의지를 표명해준 데 대해 감사하다”고 답했다. 양국 정상은 “국제사회가 북한의 핵실험은 결코 묵과될 수 없으며 대가를 치르게 할 것임을 여러차례 강조한 만큼, 이번 핵실험에 대해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한민구 국방장관과 애슈턴 카터 미 국방방관도 이날 한-미 국방부 장관 공동 언론발표문을 내어 “북한의 무모한 이번 도발이 명백한 국제법 위반이며 한반도와 아태지역 전체의 평화와 안정에 대한 위협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힌 뒤, “계획된 연합연습을 지속 실시하고 한-미 맞춤형 억제전략 및 4D(미사일 탐지·교란·파괴·방어) 작전체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이날 전화 통화에서 “지난해 10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핵 문제를 최고의 시급성과 확고한 의지를 갖고 다뤄가기로 합의한 데 따라, 이번 북한의 도발에 대한 제재 조치와 함께 북핵 문제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가속화해나가기로 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최혜정 박병수 이제훈 기자 idun@hani.co.kr
이슈사드 배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