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1월 하순이 되면 스위스 다보스에서는 세계 정·재계 리더들의 모임인 세계경제포럼(WEF)이 열린다. 올해... 2018-02-05 08:30
현대 간편식의 대명사로 통하는 샌드위치의 원조는 영국이다. 18세기 후반 영국 켄트주에 살던 샌드위치 백작(1718∼1790년)... 2018-01-29 11:51
이행과 전환을 둘러싼 담론의 범람 격변의 시대이다. 이행(transition)과 전환(transformation)의 논리가 홍수를 이... 2018-01-29 07:00
동아시아에는 미래예측이 없었을까? 근대의 미래학은 서양에서부터 시작했다. 미래학의 아버지라 불리우는 웰... 2018-01-26 10:34
핵 위기 등에 따른 지구 종말을 경고하는 ‘운명의 날 시계’(Doomsday Clock)가 `자정 2분 전'으로 앞당겨졌다. 2016년... 2018-01-26 09:59
지난해 여름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후원으로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제75차 세계에스에프(SF)대회에 다녀왔다. 1939년... 2018-01-14 16:21
새로운 결제 패러다임의 출현 한국에서는 현금보다 신용카드의 비중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 2016년 가장 많이 ... 2018-01-09 08:37
해골 모양을 닮았다 해서 ‘해골 소행성’으로 불리는 소행성이 3년만인 2018년에 지구에 다시 근접해 온다. 이 소행성은 2015년 10월 핼러윈데이 즈음해서 지구에 근접해 온 바 있어 ‘핼러윈 소행성’이라고도 ... 2018-01-05 16:22
“약속은 약속이다.” 지금으로부터 꼭 10년 전인 2008년 1월10일 뉴델리에서 열린 제9회 자동차엑스포에 나타난 인도 ... 2018-01-01 09:48
지난 한 해 한반도는 격랑의 바다와도 마찬가지였다. 북한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 실험발사로 인한 갈등은 지뢰밭... 2017-12-31 09:09
2017년 ‘올해의 국가'에 한국과 프랑스가 최종 후보로 경합을 벌였다. 프랑스 언론 <더 로컬>에 따르면 ... 2017-12-20 15:35
20년 전 외환위기가 촉발한 미래 담론 한국에서 대안미래에 대한 담론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1997... 2017-12-20 07:01
“자본주의에는 미래가 있는가” 위기의식이 대안미래 논의 촉발 앞으로 미래학적 상상력을 통해서 개인의 삶과... 2017-12-12 17:47
독일은 자동차를 발명하고, 미국은 이를 대중화했다. 그러나 ‘가장 빠른 자동차' 타이틀을 거머쥐고 있는 나라는 영국이다... 2017-12-04 07:01
세계 최대 건축 경진대회 가운데 하나인 제10회 세계건축축제(WAF)에서 그랑프리인 '올해의 세계 건축물' (World ... 2017-11-23 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