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폭 10m 구멍서 메탄가스 펑펑…기후변화 시한폭탄 찾았다

등록 2023-10-10 15:32수정 2023-10-10 21:16

극지연구소, 쇄빙탐사선 타고 7월부터 북극 탐사
동시베리아 50m 해저서 10여개 분출구 발견·촬영
극지연구소 연구팀이 북극 동시베리아해 해저면에서 음파를 이용한 수중영상촬영 장비로 촬영한 메탄 방출구 모습. 극지연구소 제공
극지연구소 연구팀이 북극 동시베리아해 해저면에서 음파를 이용한 수중영상촬영 장비로 촬영한 메탄 방출구 모습. 극지연구소 제공

국내 연구팀이 북극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수십 배 강한 메탄가스를 분출하는 구멍을 발견했다.

극지연구소(소장 강성호)는 10일 연구소 홍종국 박사 연구팀이 지난 7월부터 쇄빙 연구선 아라온호를 이용한 북극 탐사 중 동시베리아해 해저면에서 폭 10m 안팎의 메탄가스 원형 방출구를 다수 찾았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북극해에서 고농도 메탄이 방출되는 현상은 이전에도 관측됐지만 실제 방출구의 모습을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탐사 연구를 이끈 홍 박사는 “육상에서는 메탄 방출구가 꽤 발견됐지만 해저에서 메탄 분출구가 10m가 넘는 원형의 형태로 발견된 이전 사례는 구글 검색을 통해 봐도 확인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북극의 동토층과 해저에 갇혀 있는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지구온난화 효과가 21배 높고, 20년 단기 기준으로는 80배 이상 강력한 온실효과를 일으켜 기후변화의 시한폭탄으로 간주되고 있다.

연구팀은 해저면에 반사되는 음파를 기록하는 수중영상촬영 장비로 북극 동시베리아해의 수심 약 50m의 대륙붕 해저면을 탐사해 10개 이상의 메탄가스 방출구를 발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가운데 가장 큰 것은 최대 폭이 15m나 됐다.

이 메탄 방출구들은 북극해 대륙붕에 있는 영구 동토층이 녹으면서 메탄가스가 해저에서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생성된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연구소는 “동시베리아 해역 해저에 메탄가스 방출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기 관측장비를 설치해 북극 해저 메탄가스 방출 현상의 정량적인 변화와 지구 온난화 영향을 분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보이저, 일어나!”…동면하던 ‘보이저 1호’ 43년 만에 깨웠다 1.

“보이저, 일어나!”…동면하던 ‘보이저 1호’ 43년 만에 깨웠다

노화 척도 ‘한 발 버티기’…60대, 30초는 버텨야 2.

노화 척도 ‘한 발 버티기’…60대, 30초는 버텨야

‘별똥’에도 가계도 있다…세 소행성군에서 70% 배출 3.

‘별똥’에도 가계도 있다…세 소행성군에서 70% 배출

세계 최고층의 유혹…‘1km 제다타워’ 우뚝 솟는다 4.

세계 최고층의 유혹…‘1km 제다타워’ 우뚝 솟는다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받고 의사가 신난 이유 5.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받고 의사가 신난 이유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