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열린 ‘방사성 오염수 관련 IAEA 보고서의 문제점 전문가 분석 기자간담회’에서 백도명 서울대 보건대학원 명예교수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의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 계획이 ‘국제 안전기준에 부합한다’는 결론을 내린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최종보고서에 대해 국내 방사능 전문가들이 “과학적이지 않고 생태계의 복잡성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핵심 검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은 물론, ‘기준보다 낮은 방사능 수치가 나왔다’는 점을 들어 ‘잠재적인 위험성’마저 없다고 평가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공동행동은 6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국제원자력기구 최종보고서의 문제점 전문가 분석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정윤 원자력 안전과 미래 대표와 최무영 서울대 물리학과 명예교수, 백도명 서울대 보건대학원 명예교수는 이날 간담회에서 국제원자력기구가 방사능 핵종을 걸러내는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의 성능을 검토하지도 않은 것은 물론,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합적 평가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원전 설계 전문가인 이 대표는 “보고서의 가장 큰 문제는 알프스 성능에 대한 이야기가 전혀 없다는 것”이라며 “(알프스를 통해) 삼중수소를 제외한 모든 방사성 물질을 제거한다고 주장하지만, 그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가 없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원전 오염수 시료 가운데 1차 시료만 분석해 최종보고서에 넣은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그는 “2차와 3차 시료 분석 결과는 아직 발표도 되지 않았다”며 “그런데도 최종보고서가 나온 건 희한한 일”이라고 말했다. 신뢰 있는 값을 얻기 위해 3차례 분석을 하는 게 통상적인데, 국제원자력기구가 스스로 신뢰를 무너뜨렸다는 것이다.
백 교수 역시 국제원자력기구가 방사능 환경영향평가 등 핵심 단계를 건너뛴 검증을 했다는 점을 짚었다. 그는 “국제원자력기구 문건에는 어떤 시설이나 프로그램을 평가할 때는 부지 평가부터 시작해서 폐로(수명이 다한 원자로 처분)까지 단계 전체를 평가해야 한다고 나오는데, 원자력기구가 한 평가는 커미셔닝(시운전)에 대한 평가”라며 “통제된 방류라고 하면서 가장 중요한 검증 단계들을 하나도 평가하지 않고 넘어갔다”고 비판했다.
최 교수는 오염수가 바다로 방류된 뒤 생태계에 미칠 복잡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것을 문제로 꼽았다. 그는 “세슘, 스트론튬, 삼중수소 등 핵종 (수치) 하나하나를 독립적으로 따져서 (기준보다 적다고) ‘안전하다’고 말할 수 없다”며 “복잡계(생태계)는 완벽하게 안정된 상태가 아니라서 외부의 건드림이 있게 되면 예상 못한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통합적인 고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흔히 (방사능 오염 수치와 관련해) 기준값보다 작으면 안전하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기준값은 ‘안전’이 아니라 현실적인 ‘관리 기준’을 카리킨다”며 “위험과 연관 관계가 불확실한 경우에는 판단을 유보하고 ‘잠재적 위험성’으로서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이 같은 국제원자력기구의 최종보고서를 근거로 오염수 방류가 허용될 경우 “앞으로 오염 물질을 물로 희석해서 농도를 낮추기만 하면 무엇이든 버릴 수 있게 된다”고 비판했다. 백 교수도 “사람들은 공유지를 말 그대로 공공의 것이라고 여겨 쓰레기를 막 갖다 버리는 일을 벌이기도 한다”며 “ 국제사회가 다 같이 눈 가리고 아웅 하자는 것이냐”며 허탈해했다.
기민도 기자
ke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