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월 29일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코호트 격리된 한 요양병원에서 한 환자가 창밖으로 내리는 눈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사고로 다리를 다쳐 병원 치료 뒤 경기도 파주의 한 요양병원에 입원한 송아무개(76)씨는 얼마전 코로나19에 감염됐다. 송씨 방의 공동간병인이 감염의 시작이었다. 발열·인후통 증상이 악화됐지만, 병원에서 특별히 해주는 조처는 없었다. 식사 때마다 방 앞에 도시락을 넣어주고, 해열제 등 기본적인 약을 주는 수준이었다. 몸을 움직일 수 없는 확진자들은 콧줄로 유동 영양식을 섭취하거나 기저귀를 갈아줘야했는데, 일손이 부족해 제때 이뤄지지 않았다.
송씨 가족은 “격리실에는 정수기가 비치돼 있지 않아 목이 아픈 환자가 찬물을 마셔야 했다. 가장 돌봄이 필요한 때에 가장 돌봄을 받지 못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발생한 것”이라며 “지금 요양병원은 언제라도 사망자가 나올 수 있는 여건이다”고 말했다.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으로 요양병원·요양원의 집단감염 사례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요양시설 내에서 돌봄·의료 공백이 발생하고 있다. 간병인들이 확진되는 경우가 많아 입소자들을 돌볼 인력이 부족한데다, 의료체계가 마비되면서 치료·이송 여건도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18일 방역당국 집계를 보면, 지난 17일 집계된 사망자 429명 가운데 148명이 요양병원·요양원 환자였다. 지난 14일 방역당국은 최근 4주간 요양병원·시설 집단감염이 모두 486건 발생했다고 밝혔다.
요양시설 입소자는 60살 이상의 고령층인데다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가 많아 코로나 감염 시 제대로된 치료와 이송, 돌봄이 필요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요양서비스노동조합 위원장은 “집단감염이 많이 늘었다. 원래도 돌봄 인력이 많이 부족했는데, 충원이 안되다 보니 더욱 심각해졌다. 인력 보충이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며 “그러다보니 요양보호사가 격리를 해도 관련 대책이 세워지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요양시설들의 초기 대응도 문제다. 노 위원장은 “어르신이 확진된 경우 급하게 가야 될 병원이 부족하다. 또 옮기지 않고 3∼4일을 방치하면서 집단감염으로 확대되는 경우도 있다. 감염은 초기 대응이 중요한데, 각 시설에 그런 메뉴얼이 없다”고 덧붙였다.
요양병원·시설에서 치료나 이송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다. 백재중 신천연합병원 원장은 “요양병원은 병원이고 의사가 있고, 처방도 하는 등 그나마 관리가 되지만 요양원은 관리 받지 못하다가 상태 악화돼서야 실려가는 경우가 잦다”며 “그러다보니 격리 해제 뒤 상태가 나빠져 응급실로 왔는데 폐렴이 이미 진행된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최재욱 고려대 의대 교수(예방의학)는
“요양병원은 대학병원 중환자실 같은 집중치료를 할 수 없다. 감염병전담요양병원으로 이송하거나, 중증일 경우 에크모가 있는 상급종합병원 이송해야 하는데 현재는 이송할 수 있는 곳들이 과부하인 상태다”고 설명했다. 강다현 더나은요양병원 부원장은 역시 “전원 요청을 해도 중증 병상이 없어서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먹는 치료제인 팍스로비드도 공급에 차질을 빚고 있다. 강 부원장은 “최근에서야 팍스로비드 70명분 받아 처방하고 있다. 그 전에는 수급 자체가 잘 안됐고, 중간에 공급 안됐을 때는 꼭 필요한 사람들도 투약받지 못했다”고 언급했다.
정부는 지난달 말부터 요양시설에 4차접종을 시작했지만, 시설 확산세는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전날인 지난 17일 요양병원 고령층에 대한 먹는 치료제 조기 투여 대책도 내놨다. 요양병원·시설은 팍스로비드 재고 부족 시 전담 약국 외에 치료제 공급거점 감염병전담병원을 통해서도 팍스로비드를 공급받을 수 있다.
박준용 기자
juneyong@hani.co.kr 장현은 기자
mix@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