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의료·건강

[단독] 소아과 전공의 5년 전보다 64% 줄어…서울 쏠림 심화

등록 2023-06-27 05:00수정 2023-06-27 12:24

지난 5월 서울 시내 한 소아청소년과 의원에 폐업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지난 5월 서울 시내 한 소아청소년과 의원에 폐업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전국에서 수련 중인 소아청소년과 전공의(레지던트)는 올해 304명으로 5년 전보다 6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의 수는 줄었지만 서울 쏠림 현상은 더 심해졌다.

<한겨레>가 26일 최혜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로부터 받은 ‘전공의 수련병원의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연차별 수련 현황’ 자료를 보면, 전국 1~4년차 소아청소년과 전공의는 2018년 850명에서 2023년 304명으로 546명(약 64%)이 줄었다. 전공의 304명을 연차별로 살펴보면, 4년차가 137명으로 가장 많고 1~3년차는 53명, 50명, 64명이다. 전공의는 의사면허를 가지고 있으면서 전문의가 되기 위해 병원(8개 필수 전문과가 있으면서 200병상 이상 보유)에서 수련을 받는 동시에 24시간 교대로 환자 관리 등 실무를 맡는다. 전공의가 줄면서 전담 전문의가 따로 없는 수련병원은 소아 환자 진료에 차질을 빚고 있다. 지난해 말 상급종합병원인 인천 가천대 길병원이 전공의 부족을 이유로 소아청소년과 입원 환자 진료를 일시 중단한 바 있다. 응급실 소아 환자는 성인과 다른 특성을 고려해 소아청소년과 당직 의사가 보는 경우도 많다.

전공의 수는 줄었지만 서울 쏠림 현상은 더 심해졌다. 올해 기준 전국 4년차 전공의 61%가 서울에 위치한 병원 소속이다. 그러나 1년차의 경우 83%가 서울에서 수련 중이다. 서울 이외에 1년차 전공의가 있는 지역은 경기(4명)와 광주(2명), 울산·충북·전북(각 1명)이 전부다.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서울 쏠림 현상은 앞으로 더 심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전공의가 적거나 없는 병원에선 당직 등 업무 부담이 크기 때문에 지원자들이 전공의가 많은 병원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강민구 대한전공의협의회 회장은 “전공의는 교육을 받는 신분이므로 전공의가 없어도 (업무가 고르게) 분배되는 병원들이 전공의를 뽑을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임재희 기자 lim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의료공백 애타는 환자들 “언제까지 정원 얘기만…환자 고통이 중심돼야” 1.

의료공백 애타는 환자들 “언제까지 정원 얘기만…환자 고통이 중심돼야”

‘김건희 명품백’ 다시 들여다본다…최재영 수심위 열려 2.

‘김건희 명품백’ 다시 들여다본다…최재영 수심위 열려

아무도 아무도 없는, 쓸쓸한 아파트 3.

아무도 아무도 없는, 쓸쓸한 아파트

‘만취 뺑소니 사망사고’ DJ예송, 2심서도 징역 15년 구형 4.

‘만취 뺑소니 사망사고’ DJ예송, 2심서도 징역 15년 구형

서울 89년 만에 가장 늦은 열대야…낮 최고 35도 5.

서울 89년 만에 가장 늦은 열대야…낮 최고 35도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