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짬] 공공부문 노동운동 35년사 펴낸 박용석 전 민주노동연구원장
박용석 전 민주노총 부설 정책연구원장(현 민주노동연구원장)은 “자료를 모으는 습관이 책을 낼 수 있게끔 했다”고 술회했다. 이창곤 선임기자
저서 출간 직후인 지난 7월 7일 서울 정동의 한 카페에서 열린 출판기념회에서 박용석 전 민주노총 정책연구원장이 책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박주동 이음나눔유니온 사무총장 제공
전국적 연대와 단결 실천 위주로
“공공부문 노동운동 통큰 단결 필요
공세적 투쟁으로 정부정책 변화를” 1988년부터 노동운동 현장 지켜
민주노총 부설 연구원장 4년 재임 “공공부문 노동운동의 의의는 이런 투쟁을 통해 전체 노동기본권과 복지 공공서비스 확대를 선도해 온 것에 있다”는 그는 최근 공공운수노조가 9월 철도파업에 이어 10월과 11월까지 잇따라 3차례 공동파업에 나서는 것도 바로 공공부문 노동운동이 갖는 이런 성격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윤석열 정부가 시대착오적인 시장근본주의를 앞세워 공공부문 시장화 정책들로 공공서비스를 축소하고 민주주의를 후퇴시키고 있는 흐름”에서 “공공부문 노동운동이 응당 이에 맞서 투쟁을 벌일 수밖에 없다”는 논지다. 그러면서도 그는 “지난 역사를 되돌아볼 때 공공부문 노동운동은 이제 사회 공공성 확대를 위한 운동의 품격을 한 단계 더 높일 수 있는 전략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했다. 공공부문 노동운동의 통 큰 단결, 기업별 체제를 넘은 산별노조운동의 강화, 사회연대 운동의 강화, 정규-비정규 노동자들의 계급적 연대의 실천, 공공기관의 조직 운영 혁신 등이다. 동시에 “이제는 수동적 저항투쟁에서 정부 정책 변화를 위한 공세적 투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제언도 서슴지 않았다. 그는 나아가 “노동운동은 현안 투쟁을 넘어 저출산 고령화, 기후위기, 한반도 주변의 지정학적 대결 및 고용위기 등 불안정한 사회경제체제를 바꿔내는 투쟁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87년 이전부터 시작해 근년까지의 노동운동을 총 10장에 걸쳐 연대기적으로 훑은 그의 책에는 논쟁적인 부분도 담겼다. “욕먹을 각오로 썼다”는 책의 9장에 기술한 ‘문재인 정부의 탈시장화 실험 실패’와 ‘사회적 대화’와 관련한 대목이 특히 그렇다. 그는 저서에서 “문재인 정부의 공공부문 정책 전환은 민영화∙시장화의 적폐 청산으로 연결되지 못하면서 기대만큼 큰 실망도 안겨주었고, 15년 만에 되살아난 사회적 대화 전략 논의도 (민주노총의) 경사노위 참여 실패 및 코로나 위기 원포인트 노사정 합의 부결로 사실상 실패로 귀결됐다”고 적었다. “책 출간 뒤 아쉬움은 없느냐”는 물음에 그는 “한국노총 공공부문 노동운동을 제대로 담지 못한 점”이 이 책의 큰 한계라고 짚은 뒤, “후일 기회가 있으면 양대노총 공공부문 노동운동을 통합해 정리하고 싶다”고 말했다. 책 출간 뒤의 주변 반응을 묻자, 박 전 원장은 “주변에서 어떻게 그 많은 사실을 낱낱이 기록할 수 있었느냐는 질문을 많이 받았다”면서 “정책사업을 하다 보니 습관적으로 자료와 메모 등을 많이 확보했던 게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한가지 일화를 전했는데, 자신이 몸담은 공공연맹이나 민주노총이 사무실 청소하는 날이 그에게는 귀중한 자료를 확보하는 날이었다고 술회했다. 이들 “상급조직”에서 청소할 때면 숱한 자료를 버리는데, 이때 챙긴 자료들이 운동의 역사를 정리할 수 있는 귀중한 재료가 됐다는 것이다. 이창곤 선임기자 goni@hani.co.kr
연재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