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엔지오

[편집국에서] 실드 치는 한겨레? / 이춘재

등록 2020-05-31 18:03수정 2020-06-01 09:47

이춘재 ㅣ 사회부장

<한겨레>에는 ‘편집위원방’이라는 텔레그램 단톡방이 있습니다. 편집회의에 참석하는 팀장급 이상 기자들이 기사에 대한 촌평이나 아이디어, 취재 정보 등을 공유하는 곳입니다. 며칠 전 이 방에 <한겨레> 기사를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한 대학교수의 페북 글이 올라왔습니다. 그와 ‘페친’인 기자가 모니터링 차원에서 공유했는데, 정의기억연대(정의연)의 회계부정 의혹을 다룬 기사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윤미향 전 정의연 이사장(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개인 계좌로 김복동 할머니의 장례비를 모금한 것을 두고 횡령 의혹이 제기됐는데, 시민단체가 장례를 주관할 때 단체 대표 명의 계좌로 조의금을 모금하는 사례가 종종 있기 때문에 그것만으로는 횡령으로 단정할 수 없다는 취지의 기사였습니다. 윤 전 대표의 횡령 여부는 결국 검찰 수사로 드러날 것이라는 ‘공자님 말씀’ 같은 내용이었습니다.

이 기사에 그 교수가 왜 열받았는지 궁금하던 차에 앞서 페북 글을 공유한 기자가 이유를 알아보고 대략 전달해줬습니다. 김복동 할머니 조의금을 ‘김복동 유지 승계 활동비’라는 명목으로 장학금을 지급하면 본래 목적과 다른 용도로 썼기 때문에 기부금품법 위반인데, 왜 <한겨레>는 위법이 아니라고 ‘실드를 치냐’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한겨레>가 접촉한 전문가들은 다른 유권해석을 내놨습니다. ‘모집된 기부금품을 그 목적에 사용하고 남은 금액이 있는 경우’에는 등록청에 신고를 받아 ‘모집 목적과 유사한 곳’에 쓸 수 있기 때문에 법 위반으로 단정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김복동 할머니의 조의금이니까 김복동 할머니의 평소 뜻에 따라 썼다면 ‘목적과 유사한 곳’에 쓴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 교수의 페북 글은 지면에 옮기기 민망할 정도로 거칠었지만, 그래도 회계 전문가로 알려진 분이라 비난을 귀담아듣기로 했습니다. 독자의 쓴소리는, 당장은 듣기 싫더라도 나중에 보약이 됐던 경험이 있어서입니다.

<한겨레>의 정의연 기사에는 정반대의 ‘원망’도 쏟아집니다. 경기도 안성 힐링센터 고가 매입 의혹을 비중 있게 다룬 기사에 정의연과 함께 일했던 분들의 항의에 가까운 원망입니다. 불법이나 비리가 드러난 것도 아닌데 왜 보수언론의 ‘정의연 죽이기’에 동참하냐는 지적입니다. 이분들의 <한겨레>에 대한 원망은 그럴 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정의연의 전신인 정대협(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 일본군 ‘위안부’ 인권운동의 시작을 한겨레신문사와 함께 한 각별한 인연이 있기 때문입니다.

정대협 초기 멤버 중 한 분인 윤정옥 이화여대 명예교수는 1970년대에 일본인 기자의 글을 통해 위안부 문제를 알게 된 뒤 연구 활동에 나섭니다. 그는 1980년에 일본 오키나와에 홀로 살던 배봉기 할머니를 처음 만난 이후 홋카이도와 중국, 타이 등에 흩어져 있는 ‘위안부’ 피해자들을 수소문해 만나 증언을 수집했습니다. 그의 역작이 처음 빛을 보게 된 곳이 바로 <한겨레신문>입니다. 1990년 ‘정신대 원혼 서린 발자취 취재기’라는 제목의 연재물은 엄청난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당시만 해도 일본군 ‘위안부’의 존재는 일제 ‘학도병’ 출신들 사이에서 소문으로만 돌았고, 사회는 ‘나라 망신’이라며 쉬쉬하던 분위기였습니다. 윤 교수의 연재기사에 일본군 ‘위안부’ 역사를 바로 알자는 여론이 거세게 일었습니다. 정대협은 그 산물입니다. 이런 역사적 배경을 잘 알고 있는 <한겨레>라면 정의연을 보호해주는 데 더 힘을 쏟아야 하는 게 아니냐는 것입니다.

<한겨레>가 안성 힐링센터 등의 문제점을 지적한 것은 정대협의 역사와 대의를 잘 몰라서가 아닙니다. 오히려 잘 알고 있기에 더 날카롭고 정확하게 보도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게 정의연을 진짜 돕는 길이라고 믿기 때문입니다. 이용수 할머니의 두 차례 기자회견은 정의연과 인권운동단체에 큰 과제를 던졌습니다. 인권운동이 피해자를 소외시킨다면 지속가능할 수 없음을 일깨웠습니다. <한겨레>도 큰 숙제를 안았습니다. 다양한 독자 의견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 단편적 사실과 본질적 가치가 부딪힐 경우 어떻게 보도할 것인가. 참 어렵습니다.

cj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헌재, 윤석열 쪽 기일변경신청 불허…불출석으로 진행 1.

헌재, 윤석열 쪽 기일변경신청 불허…불출석으로 진행

윤석열 체포적부심, 오늘 오후 5시 서울중앙지법서 진행 2.

윤석열 체포적부심, 오늘 오후 5시 서울중앙지법서 진행

계엄 시간 짧으니 괜찮다고?…헌법학자 100명, 인권위 윤석열 방어 안건 비판 3.

계엄 시간 짧으니 괜찮다고?…헌법학자 100명, 인권위 윤석열 방어 안건 비판

윤석열 진술 거부는 ‘정보 수집 전략’?…유불리 따져보니 4.

윤석열 진술 거부는 ‘정보 수집 전략’?…유불리 따져보니

윤석열, 공수처 조사에 ‘진술 거부’ 일관…오늘 2일차 조사 5.

윤석열, 공수처 조사에 ‘진술 거부’ 일관…오늘 2일차 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