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대학과 직장에 들어가려는 경쟁이 치열한 우리나라에서 사교육은 필수로 여겨진다. ‘사교육 1번지’인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학원가 주변 도로는 학원수업이 끝나는 밤 10시께가 되면 자녀들을 데리러 온 학부모들의 차량이 몰리면서 큰 혼잡이 빚어지곤 한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한국사회 미래를 말하다
기업은 일류대 출신 따지고 대학도 부유층 우수생 선호
부유층은 거액 사교육 몰두 정부정책은 경쟁교육 조장
기업은 일류대 출신 따지고 대학도 부유층 우수생 선호
부유층은 거액 사교육 몰두 정부정책은 경쟁교육 조장
교육과학기술부가 지난달 1일 공개한 각 대학 신입생 현황을 보면,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등 상위권 대학은 신입생 5명 중에 1명 이상을 외국어고와 과학고 등 특수목적고 출신 학생으로 뽑았다. 특목고 출신 비율은 서울대가 25.9%, 연세대가 28.0%, 고려대가 20.7%였다. 최근 4년 동안 서울대 합격자의 21.0%는 서울 강남 3구 지역 고교 출신이었다. 부유층은 비싼 교육비를 자녀에게 투자해 명문대에 보내고 좋은 직장을 구하게 해주면서, 자신의 경제적 지위와 계층이 대물림되는 사회 시스템을 유지하려는 탐욕을 드러내고 있다. 이들은 사회 전체를 위한 교육투자, 즉 세금을 내는 데는 앞다퉈 부정적인 자세를 취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교육부가 2005년 발표한 통계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초·중등학교 학생 1000명당 투입되는 교원은 43.8명에 불과했다. 이탈리아는 93.6명, 프랑스는 70.2명이었고, 국가 평균은 72.8명이었다. 권영길 민주노동당 의원은 “그런데도 이명박 정부는 취임 뒤 3년 동안 중등 교원 수를 동결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용일 한국해양대 교수(교육학)는 “결국 기업과 대학, 부유층 등 3가지 탐욕의 주체가 강하게 결탁하고, 사회 불평등과 사회 위기를 고조시키며 일반 학부모들의 불안심리를 자극한다”며 “이렇게 교육은 계급을 계층화하고 대물림으로 재생산하는 도구로 전락하고, 불안함에 시달리는 학부모들의 내 자식을 위한 ‘합리적 선택’은 모두에게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오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정부는 기업과 대학, 부유층의 무절제한 탐욕을 만족시키는 제도를 정착시키고 이를 국가경쟁력을 위한 것으로 포장해 모두에게 이로울 것이라고 선전한다. 하재근 학벌없는사회 운영위원은 “대학서열화가 입시 경쟁을 조장하고, 사람까지 서열화하는 학벌사회를 만들었지만, 지난 10년의 민주정권이나 이명박 정권 등 정부는 단 한번도 대학서열화 문제를 건드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학부모들은 이런 환경에 따라 아이들 모두를 위한 투자엔 인색한 채, 내 아이를 위한 투자에만 모든 걸 쏟아붓게 됐다. 결국 인간 본연의 공동체 심성이 탐욕을 바탕으로 한 경쟁 교육이란 맷돌에 끊임없이 빨려 들어가 잘게 부서지고 있는 상황이 현재의 한국 교육이다. 이재훈 기자 nang@hani.co.kr ■ ‘YS 교육시장화’ 뒤 학벌사회 더 단단해졌다
■ 노벨상 유력 후보였던 한국의 과학자
■ G20 마친 청와대 ‘골아프네’
■ 단일야당 정권교체 염원 시민 뭉쳤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