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들이 즐비한 자동차 조립 라인. 기아차 슬로바키아 공장. 한겨레 자료사진
로봇은 인간의 일자리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
이 물음에는 상반된 답이 있다. “로봇과 인공지능 도입으로 인해 숱한 직업이 사라질 것”이라는 비관론이 있는가 하면 반대로 “아니다. 신기술이 없앤 만큼 새 일자리도 지속해서 생길 것”이라는 낙관론도 있다. 이런 갑론을박에는 나라마다 업종에 따라 양태가 다르게 나타나는 까닭도 있다. 전자의 증거도 있고, 후자의 증거도 있는 상황이다. 서구의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렇듯 불안과 희망을 오가는 두 주장이 팽팽하다. 실제 미국의 여론조사업체인 퓨리서치가 1896명의 전문가에 같은 질문을 하니 낙관과 비관의 답이 52%대 42%로 나타났다.
어느 나라보다 로봇 도입과 스마트 공장 등 자동화 비율이 높은 대한민국 노동시장에서는 로봇 도입의 영향이 어떨까? 통상 고가장비인데다 운용비용도 많이 발생하는 로봇은 대기업 위주로 도입하고, 중소기업은 대기업과의 생산성 격차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공장을 도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의 전문가들이 논쟁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동안 국내에서도 결론이 다른 상반된 연구와 주장이 있었다. 로봇 도입이 고용과 임금을 모두 줄게 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는가 하면, 오히려 고용과 매출을 늘렸다는 연구 결과도 나온 적이 있다.
이런 가운데, 한국조세재정연구원(조세연) 연구팀이 로봇 및 스마트 공장 도입이 우리의 노동시장에 끼친 영향을 실증분석해 내놓아 눈길을 끈다. 조세연의 실증분석 결과, 적어도 광업과 제조업 부문에서는 지난 18년간(2001~2018) 로봇 도입으로 오히려 수출이 늘고 수출 증가가 노동수요를 불러와 전체적으로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조세연의 이환웅·강동익 연구팀이 최근 내놓은 연구 보고서 <생산기술의 혁신이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 로봇 및 스마트 공장 도입을 중심으로>에 담겼다.
로봇에는 흔히 산업용과 서비스용 로봇이 있는데, 국제 통계로 집계되는 로봇은 산업용 로봇 만을 가리킨다. 해당 보고서를 보면, 한국은 지난 2009년 이후 로봇 도입량이 크게 늘기 시작해 2010년 이후에는 유럽과 미국, 독일을 앞섰다. 노동자 1인당 로봇 도입량은 2018년 현재 유럽연합과 미국 등 여타 국가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압도적으로 많다. 특히 자동차와 전자 계통부문에서 이 비율은 뚜렷하게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런 로봇 도입이 시군구 등 지역노동시장의 고용과 임금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행정구역이 바뀐 13곳을 제외한 전국 231개 시군구의 광업과 제조업에 해당하는 10인 이상 전 사업체 5만7235곳(2018년 기준)을 대상으로 지난 2001년부터 2018년까지 종사자 수 1천명당 도입된 로봇 대수를 계산해 로봇 도입이 이들 지역노동시장에서 고용 및 임금에 끼친 효과를 살폈다.
그 결과, 종사자 수 1천명당 로봇 1대 도입은 해당 기간 동안 지역노동시장 종사자 수를 전체적으로 0.377%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로봇 도입 상위 75%와 하위 25% 지역의 인구 1인당 노동시장 종사자 수를 비교해보니, 로봇을 많이 도입한 곳에서 제조업 고용이 9.32% 늘어난 것을 확인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또한 로봇 도입은 임금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끼쳐 임금을 0.01% 증가하게 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미미한 효과이긴 하지만 특히 제조업에서는 로봇 도입이 지역노동시장의 고용을 악화시킨다는 미국과 독일, 프랑스 등지의 실증 분석과는 다른 양상이다. 연구팀은 이런 차이의 주요 원인으로 수출주도 경제라는 한국의 산업적 특수성에 주목해 수출과 로봇 도입의 연관성을 추가로 살폈다. 특정지역 노동시장의 로봇도입이 해당 지역의 수출을 유의미하게 증가시켰고, 반대로 수출을 통제하고 추정하면 고용과 임금 증가 효과가 줄어들었다. 그 결과 로봇 도입이 노동자 1인당 생산성을 올리고, 이는 곧 제품경쟁력 증가로 이어져 수출을 유의미하게 증가시켰으며, 이런 수출 증가는 사업주에게 고용을 늘리도록 했다는 결론이다.
연구팀의 이런 분석 결과는 지난해 한국은행이 내놓은 분석 결과와 상반된다는 점에서 국내에서 로봇 도입에 따른 일자리 증감 논쟁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한국은행 김태경·이병호 연구팀은 지난 2021년 ‘산업용 로봇 보급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자동차와 전자부품 업종에 대한 분석 결과, 종사자 1천명당 로봇이 1대 증가할 경우, 종사자수 증가율은 0.1%포인트, 실질임금 상승률은 0.3%포인트가량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바 있다.
조세연 연구팀의 이환웅 박사는 “로봇 도입은 보통 여러 해에 걸쳐 고용에 영향을 끼치는데, 한국은행 연구팀이 사용한 모형은 해당 연도의 로봇 도입이 해당 연도의 고용에만 영향을 끼친다는 가정 아래 추정된 것이어서 한계가 존재한다”고 짚었다.
그렇다면 스마트 공장 구축은 고용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연구팀은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사업체와 도입하지 않는 사업체들의 다양한 변수를 살폈다. 한국신용정보(NICR)의 기업정보자료(KIS-Line)와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종사자 수, 평균임금, 청년고용 비중을 계산하고,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의 스마트공장 참여기업 전수명단을 결합해 스마트공장 도입에 따른 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스마트 공장 도입은 단기적으로 새로운 공장 가동을 위해 고용 규모를 늘리도록 했지만, 증가폭은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공장 도입은 청년층(15~34살) 노동자의 비중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지는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스마트 공장 도입이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단순 작업을 줄여줘 청년층이 선호하는 작업장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라고 판단했다. 다만, 스마트 공장을 구축한 사업체의 청년층 평균임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이와 관련해, 작업 환경 등 비임금적인 측면이 개선되면서 약간의 임금 감소가 있더라도 청년층 노동공급이 증가했을 수 있다는 해석에 무게를 뒀다.
최근 로봇과 자동화기술의 발전으로 일자리가 줄 거라는 우려가 커지면서, 로봇세 도입이 논의되고 있다. 로봇을 보유한 기업에 세금을 부과해 로봇도입으로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의 재취업을 지원하거나, 로봇으로 인해 줄어든 개인소득세를 보전하려는 목적이다.
이환웅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에선 로봇 도입이 적어도 광업과 제조업 부문에서는 고용의 감소보다 오히려 증가를 가져오고 있어 서구와 달리 아직은 로봇세 도입의 전제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다만 “로봇 도입이 당장엔 고용감소로 나타나지 않더라도 이로 인해 이득을 보는 이들과 손해를 보는 경제주체가 생길 가능성이 큰 것은 분명하다”며 “로봇 도입에 따른 실직노동자 지원 정책에 대한 고민은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이창곤 선임기자
go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