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생자 추모 메시지 가득한 이태원역. 연합뉴스
경찰청 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참사 당일 서울지하철 이태원역에서 무정차가 이뤄지지 않은 경위를 수사 중이다. 특수본은 용산구청, 용산경찰서, 용산소방서 등 소속 직원들도 줄줄이 불러 조사를 진행했다.
특수본은 13일 오전 서울교통공사 종합관제센터 팀장 ㄱ씨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참사 직전 이태원역에 승객이 몰렸는데도 무정차 통과 등 조처가 이뤄지지 않은 경위를 따져보기 위해서다. 특수본은 ㄱ씨에게 무정차 통과 결정 권한이 누구에게 있는지 등을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교통공사 종합관제센터는 승객 승하차 현황을 점검해 승하차 인원이 급격하게 많아지는 경우 등 긴급상황을 통제하는 곳이다. 참사가 발생한 지난달 29일 이태원역에는 총 8만1573명의 승객이 내려 지난해 핼러윈 주간 토요일보다 2.6배 많았다. 이에 지하철역 무정차 통과 요청이 미진해 참사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왔다.
무정차 통과 요청 시각 등을 두고 서울교통공사와 용산경찰서는 서로 공방을 벌인 바 있다. 서울교통공사는 참사 직전 무정차 통과 요청을 경찰로부터 받은 적이 없고,
참사가 발생한 지 1시간여 지난 밤 11시11분 무정차 여부를 문의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경찰은 용산서 112상황실장이 밤 9시38분 서울교통공사에 이태원역 무정차 통과를 요청했지만 공사 쪽이 정상 운영을 고집했다고 반박했다. 특수본은 앞서 서울교통공사 본사와 이태원역 등을 압수수색했다.
이날 특수본은 용산구청 직원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전날에는 용산경찰서·용산구청·용산소방서 등 소속 직원들을 불러 현장 조처 및 상황처리 과정을 조사했다.
곽진산 기자
kj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