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단독] ID 막힌 응급의료센터 “소방과 정보 공유 안 됩니다”

등록 2023-01-03 17:19수정 2023-01-04 00:59

‘다수 사상자 관리 시스템’ 있지만
응급의료센터, 로그인조차 못 해
상급기관 복지부 접근 권한 없어
이태원 참사 직후인 10월30일 중앙응급의료상황실이 운영하는 '모바일 상황실'에 공유된 메시지 내용.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제공
이태원 참사 직후인 10월30일 중앙응급의료상황실이 운영하는 '모바일 상황실'에 공유된 메시지 내용.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제공

대형재난으로 다수사상자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환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소방이 운영하는 ‘다수사상자 관리시스템’(MCMS)이 이태원 참사는 물론, 최근 발생한 과천 방음터널 화재 때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3일 확인됐다.

소방은 지방자치단체나 중앙응급의료센터(응급센터) 등 재난 관련 기관에 해당 시스템 접속 권한을 주고 있는데, 이태원 참사 당시 응급센터가 운영하는 중앙응급의료상황실(의료상황실)에서는 로그인 자체가 안 돼 현장 파악과 대응에 어려움을 겪었다.

윤건영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국조특위) 위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의료상황실의 ‘모바일 상황실’을 보면, 중앙응급의료상황팀장은 지난해 10월30일 오전 5시12분 “다수사상자 관리시스템 저희 중앙응급의료센터 아이디 막혀 있어 전혀 소방과 정보 공유가 안 됩니다”라고 했다.

당시 상황실은 환자 집계 상황을 공유하며 정보가 맞는지를 확인하는 중이었는데 병원으로 이송된 환자 정보가 일부 파악이 안 돼, 소방 정보와 대조해보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와 응급센터 쪽 설명을 종합하면 응급센터는 이태원 참사 1~2주 전부터 해당 시스템 접근이 불가능했다고 한다. 계정(ID)과 비밀번호는 소방청으로부터 받았지만 로그인이 되지 않아 환자 데이터에 접근할 수가 없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환자 이송 정보 확인과 동선 추적에 어려움을 겪었다. 응급센터는 이태원 참사 이후 발생한 과천 터널 화재(5명 사망·41명 부상) 때도 해당 시스템에 접속할 수 없었다고 한다.

응급센터의 상급 기관인 복지부에는 해당 시스템 접속 권한도 주어지지 않았다. 복지부 관계자는 “재난 상황에서 소방청이 이 시스템에 접속할 링크를 모바일상황실 등에 공유할 때가 있는데, 복지부는 접속 권한이 없어 시스템을 확인할 수 없다”며 “복지부 등 관계기관에도 이런 기능이 공유됐다면 (사상자 발생) 상황 파악이 좀 더 수월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0월29일 밤 이태원 참사 부상자들이 병원으로 후송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10월29일 밤 이태원 참사 부상자들이 병원으로 후송되고 있다. 연합뉴스

해당 시스템은 다수사상자가 발생하면 상황을 의료기관에 전파하고 병원 정보나 이송환자 현황을 주고받으며, 119구급대나 병원·사설 구급차에 이송 가능한 병원을 알려줘 빠른 대처가 가능하게끔 하는 구실을 한다.

2018년 소방청이 자체 개발하고 2019년 전국으로 보급했는데, 개발 당시 소방청은 응급센터나 지자체에도 이를 공유하며 다수사상자 발생 시 이용하라고 소개했다고 한다. 이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다수사상자 정보를 유·무선 전화나 메신저 등으로 개별 파악해야 한다.

실제로 참사 당일 의료상황실이 운영하는 ‘모바일 상황실’은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으로 운영됐고 국립중앙의료원 응급센터 의료상황실과 소방, 응급의료기관, 지자체 등 400여명이 참여해 각각 메시지를 올리는 식으로 소통했다.

‘모바일 상황실’은 환자 응급처치 상황부터 이송할 병원 정보 제공, 임시영안소 지정, 사상자 병원 이송 현황까지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역할을 했지만 대량 메시지가 올라오면서 한 병원에 많은 환자가 몰리는 등 혼선이 빚어지기도 했다.

윤건영 위원은 “아이티(IT)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환자 이송 정보조차 유관 기관이 실시간으로 공유하지 못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정부가 재난 대응 역량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과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소방 관계자는 “해당 시스템을 지자체나 중앙응급의료센터가 의무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과거 해당 시스템을 소개했을 때 응급센터는 활용에 부정적이었다. 접속이 가능하지 않았던 것은 비밀번호 분실이나 아이피(IP) 대역 변경 등 다양한 이유가 있을 것인데 정확히 파악되진 않는다”라고 밝혔다. 이어 “의료상황실은 자체 모바일 상황실을 주시스템으로 사용하고 있다”며 “다수사상자 관리시스템은 재난 초기 구급상황관리센터와 현장 구급대원이 실시간으로 환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소방청 내부 메신저 성격이 강하다”라고 해명했다.

김가윤 기자 gayoon@hani.co.kr 천호성 기자 rieux@hani.co.kr, 신다은 <한겨레21> 기자 dow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숙명여대 교수들도 “윤, 특검 수용 안 할 거면 하야하라” 시국선언 [전문] 1.

숙명여대 교수들도 “윤, 특검 수용 안 할 거면 하야하라” 시국선언 [전문]

9살 손잡고 “떨어지면 편입”…대치동 그 학원 1800명 북새통 2.

9살 손잡고 “떨어지면 편입”…대치동 그 학원 1800명 북새통

수능 D-9, ‘이것’ 안 지키면 시험 무효…수험생들 유의하세요 3.

수능 D-9, ‘이것’ 안 지키면 시험 무효…수험생들 유의하세요

한양대 교수들도 시국선언 “모든 분야 반동과 퇴행…윤석열 퇴진” [전문] 4.

한양대 교수들도 시국선언 “모든 분야 반동과 퇴행…윤석열 퇴진” [전문]

본인 얼굴 알린 제보자 색출하려…황인수 진화위 국장 ‘허위 공문’ 논란 5.

본인 얼굴 알린 제보자 색출하려…황인수 진화위 국장 ‘허위 공문’ 논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